ADVERTISEMENT

올림픽 수지타산 어떻게되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서울올림픽의 수지타산은 어떻게 맞추어질까.
9일 한국개발연구원이 발표한 「서울올림픽의 국가발전적 의의」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올림픽은 82∼88년 사이에▲모두 2조4천4백64억원이 투자되어▲이에따라 같은 기간 국민총생산의 0.4%에 해당하는 1조8천9백59억원의 국민소득이 새로 생기고▲34만4천명에게 일자리를 만들어 주는 한편▲해외에서 2억7천2백만달러 만큼을 더 벌어들이는것으로 계산되어있다.
한마디로 매우 낙관적인 올림픽 수지계산이다.
그러나 올림픽의 경제성 평가는 보는 시각에 따라 엄청나게 달라질수가 있어 문제다.
공장의 회계장부처럼 손익계산서의 차변과 임변이 명확하게 정해져 있지않기 때문이다.
우선 KDI의 올림픽 수지계산을 따라가 보자.
총2조4천5백억원에 이르는투자내역을 보면 ▲경상적으로 나가는 운영비가 5천5백33억원▲올림픽공원·선수촌·경기장건설과 예술축전행사·기록영화제작등 이른바 직접투자비가 9천2백44억원 ▲한강종합개발을 비롯하여 김포공항확장·도로정비·패밀리 아파트건설등 이른바 여건조성 사업비가 9천6백87억원등이다.
그리고 이같은 투자에 필요한 돈은▲정부가 전체의 34.3%인 8천3백99억원을 대고▲나머지 7천4백77억원 (전체의 30.6%)은 올림픽조직위원회의 기금에서▲8천5백88억원(35.1%)은 민자로 각각 조달하도록 되어있다.
또 이와같은 투자가 일어나게되면 모두 4조8천8백억원어치에 이르는 물건들이 만들어지게 되는데 이중 59%인 2조8천8백37억원어치는 경기장·도로등 이른바 사회간접 자본과 서비스업쪽에서의 흥청거림을 돈으로 환산한 것이다.
이같은 결과를 토대로 계산해낸 새로운 일자리도 역시 건설과 서비스쪽에 집중되어 있어 총 34만4천명의 고용증가중 31%인 10만6천명은 경기장이나 아파트등 건물을 짓는 건설현장에서 일자리를 얻고 특히 전체의 45.8%인 15만8천명은 호텔이나 식당 종업원·안내원등 서비스 부문에서 일감을 구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한편 올림픽조직위가 TV방영권등으로 받는 외화는 4억4천7백만달러이고 조직위가 쓰는 외화는 8천8백만달러이므로 여기서만 3억5천9백만달러가 남고, 이밖에 1억4천만달러 정도의 관광수입이 느는 대신 기자재 도입등으로 2억2천7백만달러를 쓰게 되므로 결국 올림픽을 치르면서 2억7천2백만달러 정도를 더 벌어들이게 된다는 계산이다.
그러나 비록 매우 논리적이고 경제적인 접근이기는 하지만 이와 같은 계산을 공인회계사가 기업의 결산결과를 감사하듯이 정확하다고 볼수는 없는 일이다.
우선 「총투자」에 어디까지를 포함시키느냐부터가 문제다.
단적인 예로 그간 수없이 유치해온 각종「국제대회」경비는 거개가 빠져있고 성화봉송로 정비에 들어가는 1천5백억원의 국가예산도 체육부와 KDI측의 논의 끝에 경비계산에서 제외됐다.
특히 「여건조성사업」이라는 항목에는 그야말로 귀에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식의 모호한 비목이 많아 과연 올림픽관련 투자가 체육부의 자료대로 2조4천억원선에 그칠 것이냐는데는 논란의 여지가 많다.
다음으로 그만큼을 투자하면 산업연관 분석등에 의해 생산·소득·고용유발효과등을 수리적으로 계산해낼수 있지만 그같은 플러스 효과만으로 경제성이 있다고 속단하는것은 문제가 있다. 쉽게 말해 그만한 투자를 올림픽 아닌 다른 사업에 돌렸을 경우 그보다 훨씬 큰 수익을 기대할 부문이 얼마든지 있기 때문이다.
또 올림픽에 따른 소득과 고용유발 효과라는 것도 앞서 인용했듯이 제조업 아닌 건설·서비스쪽에 집중된다는 사실도 한번쫌 곱씹어볼 대목이다.
상식으로 보아도 건설현장이나 서비스업쪽에 동원됐던 인력은 공사가 끝나고 올림픽이 끝나는 그 순간부터 다른 일자리를 찾아야만 할것이기 때문이다. <김수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