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전남도청에 들어선 아시아문화전당…‘5·18 총탄 흔적 지우기’ 논란 거세질 듯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5·18 헬기 사격’은 사실로 드러났지만 아직 밝혀야 할 5·18의 진실은 많고 해결해야 할 과제도 있다. 먼저 처음 발포를 지시한 사람이 누구인지다. 5월 단체들은 “최초 발포 명령자 규명과 함께 헬기 발포 명령자도 밝혀내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당시 5·18 민주화 운동을 강경 진압했던 전두환 전 대통령은 발포 명령을 부인한 채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

추천 기사

헬기 사격이 확인되면서 옛 전남도청 자리에 들어선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측의 ‘5·18 총탄 흔적 지우기’에 대한 논란도 거세지고 있다. 5월 단체들은 5·18 최후 항쟁지인 옛 전남도청의 원형 보존을 요구하며 지난해 9월 7일부터 천막농성 중이다. 이들 단체는 “문화전당 측이 리모델링을 핑계로 옛 전남도청 건물 내 5월의 흔적들을 없애고 있다”며 충돌했다. “전당 측이 옛 전남도청 본관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면서 1층에 있던 방송실을 겸한 당시 시민군 상황실 일부를 없애고, 건물 외벽에 페인트를 덧칠해 남아 있던 총탄 자국이 사라졌다”는 것이다.

시민단체 “리모델링 핑계로 없애”
“당시 발포 명령자 규명을” 요구도

5월 단체들은 옛 전남도청을 리모델링한 ‘민주평화교류원’ 개원도 반대하고 있다. “역사적인 5·18 장소인 옛 전남도청을 단순한 전시실로 격하시키려는 꼼수”라는 주장이다. 민주평화교류원은 5·18의 중심지로 인정받아 보존이 결정된 옛 전남도청 본관과 별관 등 6개 건물을 활용한 아시아문화전당 시설이다. 문화전당 측은 “5월 단체 측과 지속적으로 협의해 왔는데 일방적인 반대를 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최순실씨가 2013년 5월 제33주년 5·18 민주화운동 대통령 기념사를 수정한 것도 ‘5·18 흔적 지우기’라는 지적이 나온다. 최씨가 삭제한 글귀 대부분이 5·18의 역사적 의미와 광주정신의 가치를 드높인 표현들이어서다.

관련 기사

올해 5·18 37주기를 앞두고 풀어야 할 과제도 산적해 있다. ‘임을 위한 행진곡’의 5·18기념곡 지정 및 제창 갈등이 대표적이다. 국가보훈처는 5·18 기념식에서 이뤄졌던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을 2009년부터 합창으로 바꾸거나 식후 행사에 넣었다. ‘임을 위한 행진곡’은 2013년 이후 해마다 5·18이면 기념곡 지정을 촉구하는 움직임이 있었으나 번번이 국가보훈처의 반대로 무산됐다.

광주광역시=김준희 기자 kim.junhe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