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코노미, 고령화, 불황형 소비…만만치 않은 정유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정유년 한국 경제는 정치에 휘둘리고, 고령화 충격이 본격 시작되는 등 쉽지 않은 한 해가 될 전망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한국을 뒤흔들 ‘2017년 국내 10대 트렌드’ 보고서를 8일 발표했다.

현대경제연, 10대 트렌드 보고서
조기 대선에 선심공약 홍수 우려
사회 갈등 예방·해결 시스템 시급

올해 가장 큰 이슈는 대통령 선거다. 연구원은 올해 조기 대선이 치러지면 준비가 부족한 각 정당이 선심성 공약을 내놓아 경제가 정치 논리에 의해 움직이는 현상(폴리코노미·poli-conomy)이 나타날 것으로 봤다. 정치가 경제를 흔드는 와중에 한국 경제는 뚜렷한 성장 모멘텀을 찾지 못해 성장하지 못하는 ‘뉴 뉴트럴(new neutral)’ 상황도 우려된다.

더불어 인구감소·고령사회 충격이 경제 전반으로 확산하는 ‘에이지-퀘이크(age-quake)’ 현상도 걱정거리다.

경제가 악화하면서 비용 절약과 만족의 최대화를 동시에 추구하는 ‘불황형 소비(CORE)’가 확산한다. 소형 제품(compact)을 선호하고, 권익 증진을 위해 소비자들이 협동(organized)하고, 지출을 감축(reducing)하고 경제성(economical)을 감안하는 소비자가 늘어난다는 뜻이다. 또 수익성이 하락한 제조 기업은 제품 제조·개발보다 고객 소비 자극 방안을 모색하는 등 주요 트렌드 다수가 불안정한 경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올해 대선으로 정부가 바뀌면 현 정부의 주요 성장 전략인 ‘창조경제’도 사라질 것으로 전망했다. 창조경제를 대체하는 새로운 성장 원천을 모색하는 시기가 된다는 게 연구원의 전망이다.

이밖에도 연구원은 올해 ▶북핵 문제 해결이 쉽지 않고 ▶재난·사고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안전경제가 화두로 떠오르며 ▶과잉 교육투자 우려가 심화하고 ▶이기주의가 심화하는 현상이 확산할 것으로 봤다.

박용정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원은 “사회적 갈등을 예방·해결할 수 있는 선진국 수준의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문희철 기자 reporte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