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 “시리아 내전, 30일 0시부터 전면 휴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4면

5년 여 내전으로 신음하던 시리아에서 마침내 포성(砲聲)이 멎을 것인가.

러시아 이어 터키 정부도 확인
미국 배제된 채 푸틴이 협상 주도
5년 끈 전쟁 마침표 찍을지 미지수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29일 시리아 정부군과 반군 간의 휴전을 공식 선언했다. 그는 “총 3개의 문서에 서명했다”며 “첫 번째는 시리아 정부군과 반군 사이의 휴전 협정이다. 휴전 협정의 이행을 어떻게 감시할 것인지를 다루는 문서와 평화협상에 돌입할 준비가 됐음을 선언하는 문서에도 서명했다”고 전했다. 이어 “이번 합의는 러시아·터키·이란 등의 공동 노력의 결과”라고 말했다. 러시아는 이란과 함께 시리아 정부군을, 터키는 반군을 지원해왔었다. 이후 터키 외무부도 이 같은 내용을 확인했다. 시리아 야당도 휴전에 찬성했다고 한다.

휴전은 30일 0시부터 시리아 전역에서 발효된다.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방장관은 “시리아 전역의 6만2000명 반군 이 휴전에 참여할 것”이라고 했다. 러시아군의 공습도 중단된다. 러시아군과 터키군은 함께 휴전 준수 상태를 감시하는 핫라인도 개설했다.

일부 반군은 휴전 협정 대상에서 제외됐다. 시리아 정부군 쪽에선 “이슬람 극단주의 단체인 ‘이슬람국가(IS)’와 알카에다와 관계 깊은 ‘알누스라 전선’ 지역을 배제한다”는 얘기가 나왔다. 로이터 통신은 그러나 “IS 지역만 휴전 지역에서 빠질 것”이라고 전했다. 대신 그동안 정부군·반군 사이에 첨예했던 지역으로, 반군이 점령한 다마스쿠스 인근의 동(東) 구타는 대상에 포함됐다.

내전이 6년째로 접어든 올해부터 유엔 등을 통해 여러 차례 시리아 평화 협정이 시도됐지만 결실을 맺지 못해왔었다. 푸틴 대통령 스스로도 이번 합의를 두고 “깨지기 쉽다”고 표현했을 정도로 변수가 많은 상황이다. 중동 전문가인 다이애나 다크는 그러나 영국 BBC와의 인터뷰에서 “(정부군을 지원한) 러시아나 이란의 경우 더 이상 시리아란 수렁에 빠져들고 싶어 하지 않는다. 이미 원하는 바를 얻었다”며 “시리아 정부가 이에 반대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전문가들 사이에선 "미국이 완전히 배제된 채 푸틴 주도로 이뤄진 휴전이란 점에서 오바마 정부에 타격”이란 분석도 나왔다.

런던=고정애 특파원 ockha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