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익 없는 실버·청소년 요금제

중앙일보

입력

통신비를 줄이려고 노인이나 청소년 전용 요금제를 선택했다가 일반 요금제보다 더 많은 요금을 내는 낭패를 당할 수 있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동통신사의 '실버요금제'와 '청소년요금제' 이용 실태 조사 결과, 음성통화나 데이터 기본 제공량이 해당 연령대의 평균 사용량보다 부족하다고 28일 밝혔다.

한국소비자원이 60대 이상 스마트폰 이용자 435명을 설문 조사한 결과 이들의 월평균 데이터 사용량은 2.79GB, 음성통화 사용량은 163분이었다. 하지만 이동통신 3사의 실버요금제 중 2.79GB보다 많은 데이터를 제공하는 요금제는 1종 뿐이었다.

게다가 60세 이상 스마트폰 이용자가 평균 데이터(2.79GB)와 음성통화 사용량(163분)을 쓰면 일반 요금보다 비싼 경우도 있었다.

또 실버요금제 15종 중 12종이 200MB~1.2GB의 데이터만 제공하고 음성통화 기본제공량도 150분 이하인 것으로 조사됐다.

청소년요금제도 소비자가 꼼꼼하게 따져보지 않으면 실익이 없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한국소비자원이 13~19세 스마트폰 이용 청소년 432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더니 월평균 데이터 사용량은 6.49GB, 음성통화 사용량은 109분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청소년요금제의 기본 데이터 제공량은 최대 3GB다.

청소년 요금제 중 음성통화 요금이 일반 요금제보다 높은 경우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요금제의 음성통화 요금이 1초당 1.98원인데 반해 청소년요금제는 1초당 2.5원(알ㆍ링 단위도 있음) 이상 운영되고 있다.

장은경 한국소비자원 시장조사국 거래조사팀장은 "연령별 평균 사용량을 고려해 요금제를 다양화하고 불합리한 요금 개선 등 자율시정을 관련 업계에 권고할 예정”이라며 “소비자들도 스마트폰 구입시 본인의 음성통화와 데이터 사용량을 사전에 파악해야 한다”고 말했다.

성화선 기자 ss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