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 탄핵 반대한다던 정진석…몇 시간만에 “탄핵 반대 아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25일 늦어도 12월 9일까지 대통령 탄핵안을 처리하겠다는 야 3당의 방침에 대해 ‘수용불가’ 입장을 밝혔다가 당내 비박계 의원들이 반발하자 서둘러 철회했다.

정 대표는 이날 오전 열린 의원총회에서 “헌법에 규정된 탄핵 추진에 대해 야당과 성의 있는 협상 해나갈 용의가 있다”면서도 “야당의 주장대로 허겁지겁 12월 2일, 9일 탄핵 처리하겠다는 것을 나는 답안지로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탄핵 절차 이후 두 가지 시나리오가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첫 번째는 “탄핵 절차 이후 헌재 판결이 2~3개월 내 내려질 수 있고 1년 이상 길어질 수도 있다”는 것이라며 “탄핵 로드맵을 정교하게 하지 않고 탄핵하면 그 불안감은 국회가 져야한다. 질서있는 탄핵 절차, 질서 있는 국정수습책을 논의하자”고 말했다.

두 번째 시나리오로는 “국회에서 탄핵 의결되더라도 헌법재판소가 최순실 형사 소송 결과를 보기 위해서 탄핵 심판 절차를 중지할 수 있다”는 점을 들었다.

이와 관련 “헌재법에 심판 절차 정지 규정이 있다”며 “노무현 대통령 탄핵 때는 사실 관계에 대한 다툼이 없었지만 이번엔 많은 사실 관계를 두고 다툴 수 있기 때문에 최소한 1심 재판 결과를 기다리게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반대로 헌재가 2~3개월 안에 탄핵 결정을 내릴 경우 내년 3~4월에 대선을 치러야 한다는 점을 들어 “경선도 엉망진창이 될 것이고, 제대로 된 선거 운동도 못하는 상황에서 벼락치기 대선 치러야 한다”며 “검증 부실과 차기 정부 정통성에 심대한 문제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야당이 탄핵 주장하는 이상 여당 원내대표로서 책임있는 논의 나서겠지만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심도 있게 논의해야 한다”며 “12월 9일 탄핵처리는 받아들일 수 없다는 점 분명히 한다”고 말했다.

정 대표는 그러나 이 같은 ‘탄핵 연기’에 대해 당내 비박계가 반발하자 이날 오후 “탄핵에 따른 현실적인 여러 문제들이 있다는 것이지 제가 탄핵을 반대한다거나, 탄핵을 회피한다거나, 탄핵을 지연시킨다거나 하는건 절대 아니라는 점을 말씀드린다”고 해명했다.

그는 이어 “야당은 일방적으로 조기 대선을 원하는 건지, 조기대선에 따른 혼란이나 이런 후유에 대해서는 전혀 걱정 안해도 되는 것인지, 이런 질문을 (나 자신에게) 던져본 것”이라고 자신의 발언을 정정했다.

그는 또 “야당이 12월 초에 탄핵을 발의해서 추진하겠다고 하면 저희들은 막을 방법이 없다”며 사실상 자신의 탄핵연기 협상 시도를 철회했다.

정 대표는 “우리 새누리당은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탄핵 절차를 피할 수 없고 피해서도 안된다고 생각한다. 이건 분명한 원칙”이라며 “저부터 탄핵이 발의되고 정상적인 헌법 절차를 지킬 것이고 저부터 개표소에 가서 찬반 의사를 표시 할 것이고 새누리당은 절대 당론으로 탄핵 표결을 반대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선욱·박혜민·황정일 기자 park.hyem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