壟斷 -농단-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농단(壟斷)은 『맹자(孟子)』 공손추(公孫丑)에 나오는 말이다. 원문에는 용단(龍斷)으로 돼 있다. 여기서는 용(龍)이 농(壟)의 뜻으로 쓰이고 있다. 설(說)이 열(悅)로 쓰이는 것과 같은 이치다. 농(壟)은 언덕, 단(斷)은 낭떠러지로 농단은 높직한 낭떠러지를 일컫는다.

漢字, 세상을 말하다

맹자가 제(濟)나라의 정치 고문에 해당하는 객경(客卿) 자리에 있었으나 선왕(宣王)이 그의 진언(進言)을 별로 듣지 않자 떠나려 했다. 이를 눈치 챈 선왕이 시자(時子)란 사람을 통해 맹자를 잘 대접하겠다는 뜻을 전했다. “시내에 큰 집을 마련하고 만종(萬鐘)의 녹봉을 드려 제자들을 양성하게 함으로써 모든 대신과 백성의 본보기가 되게 하고 싶다.”

이런 이야기를 제자를 통해 들은 맹자는 “내가 돈을 바란 게 아니다”며 “자신의 뜻이 맞지 않아 물러났으면 그만이지 그 제자들을 대신이 되게 하는 건 이상하지 않은가. 부귀를 마다할 사람이 있겠는가. 하지만 부귀 속에 혼자 농단을 해서야 쓰겠는가(人亦孰不欲富貴 而獨語富貴之中 有私壟斷焉)”라고 옛날 계손(季孫)이 자숙의(子叔疑)를 평한 말을 인용했다.

맹자는 이어 농단에 대한 설명을 했다. “옛날 시장이란 건 각자 갖고 있는 것을 남의 것과 서로 바꾸는 곳으로, 시장은 그런 거래에서 일어나는 시비(是非)를 가려주는 소임을 하고 있었다. 한데 한 못난 사나이가 농단을 찾아 그 위로 올라가 좌우를 살핀 뒤 시장의 이익을 그물질했다. 사람들이 이를 밉게 보아 그에게 세금을 물리게 됐다. 장사꾼에게서 세금을 받는 일이 바로 이 못난 사나이에서 비롯됐다.”

높직한 낭떠러지인 농단은 이처럼 앞쪽은 물론 좌우를 잘 살펴볼 수 있는 지형이나 위치를 말한다. 자연히 이곳에 서면 시장 상황 전체를 가늠할 수 있다. 따라서 그날 어떤 물건이 잘 팔리고 안 팔리는지 즉 물가의 흐름을 예측할 수 있어 부족할 만한 물건을 미리 사들일 경우 폭리를 취할 수도 있는 행동에서 기인하게 된 말인 것이다.

우리 사회가 대통령 주변의 몇몇 사인(私人)의 국정 농단으로 홍역을 앓고 있다. 농단의 폐해는 단순한 이익의 부당 거래에 그치는 게 아니라 그것이 야기하는 우리 사회의 신뢰 붕괴에 있다. 농단 관련자들을 시급히 또 강력하게 처벌해야 할 이유다.

유상철논설위원 you.sangchul@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