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이재용 책임경영으로 삼성전자 위기 빨리 벗어나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삼성전자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등기이사로 경영 전면에 나설 것이라고 발표했다. 삼성 오너가 등기이사에 오르는 것은 이건희 회장이 차명 비자금 조성 의혹으로 2008년 등기이사직에서 물러난 후 8년 만의 일이다. 이는 삼성전자가 갤럭시노트7 폭발 사고 이후 신속하게 전량 리콜 조치를 발표하며 초기 진화에 나섰지만 미국 정부기관 등이 사용 중단 조치를 내리는 등 위기가 증폭되는 상황에서 나온 특단의 조치로 풀이된다.

 시장에서는 이 같은 삼성전자의 정면돌파 의지에 대해 반기는 분위기다. 이재용 부회장의 리더십은 일단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지난해 6월 메르스 사태 당시 질병 확산 진원지로 삼성서울병원이 지목된 후 직접 나서 사태를 해결함으로써 리더십을 입증한 바 있어서다. 또 도요타가 2009년 미국 대량 리콜 사태 당시 오너경영 체제로 복귀한 후 빠르게 위기를 극복하고 3년 만에 다시 세계 1위로 올라섰던 사례를 들어 삼성전자도 책임경영을 통해 전열을 재정비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이재용의 삼성전자가 가장 서둘러야 할 것은 이번의 신뢰 위기에서 재빨리 벗어나는 것이다. 실제로 갤노트7 파문이 코스피 지수까지 흔들 정도로 삼성전자 문제는 단지 한 기업의 문제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한국 경제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또 삼성그룹 전체에서도 전자의 비중이 절반에 이르고, 전자에서 휴대전화의 비중이 큰 만큼 휴대전화의 위기는 삼성을 넘어 한국 경제의 위기로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새로운 혁신에 대한 고민도 서둘러야 한다. 이번 갤노트7 위기는 지금까지 성공해 왔던 방식, 즉 최첨단의 첨예한 하드웨어 경쟁만으로는 한계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드러낸 사건이다. 반도체·휴대전화에 이은 제3의 압도적 제품을 내놔야 하고, 애플의 생태계 전략처럼 단순 하드웨어만이 아닌 경쟁자가 추격할 수 없는 경쟁력을 찾아내야 새로운 도약이 가능한 상황이다. 이재용의 전면 등장이 단순한 그룹 승계 과정이 아닌 새로운 패러다임을 창출하는 과정이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