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가족] “진료·치유 서비스 통합한 스마트 암병원 선뵐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1면

기사 이미지

경희의료원이 국내 암 치료의 새로운 진료 모델을 만들기 위해 첫발을 내디딘다. 오는 27일 후마니타스 암병원의 착공식을 앞두고 경희대 임영진(사진) 의무부총장에게 향후 비전과 실행 계획을 들었다.

핵심 의료서비스로 정밀의학을 꼽은 이유는.
“정밀의학이 주목하는 대상은 개인차다. 개인별 맞춤진료는 치료 성공률을 최대로 끌어올리고 후유증을 최소화한다. 특히 의약품 내성 같은 기존 치료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크다. 경희의료원에는 명의로 불리는 전문 의료진이 대거 포진해 있다. 이미 정밀의학·수술팀을 구성해 최적의 암 치료를 실시하고 있다. 암병원 개원을 앞두고 세계 최고 수준의 의료기관이 되기 위해 병원 안팎의 역량을 강화해 나갈 것이다.”
주요 치료·행정시스템을 소개해 달라.
“스마트 암병원 시스템을 선보일 계획이다. 암병원의 스마트 플랫폼과 소통 채널을 활용해 환자 안전도와 편의성을 높일 것이다. 환자·보호자를 대상으로 암 정보나 안전 및 감성 케어 콘텐트, 운동량 측정·관리, 위급 상황 긴급 지원 서비스가 제공된다. 특히 진단부터 치료, 사후관리, 보험 문제까지 한꺼번에 상담할 수 있는 신개념의 의료서비스 통합센터 역시 구축할 것이다.”
치료 후 관리, 질병 예방 분야에서의 역할을 소개한다면.
“암이 치료됐더라도 통증을 호소하거나 잠을 잘 못 자고 식욕·의욕이 없다면 그 치료는 큰 의미가 없다. 치유 프로그램을 도입하려는 이유다. 암 예방도 마찬가지다. 대장암, 위암, 유방암 같은 암의 종류보다 유전학적 분류가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 유전자 특징을 기반으로 질병 발생을 미리 예측하고 환자에게 수술, 생활습관 교정, 약물 같은 적절한 치료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세계적 수준의 암병원을 위한 계획은.
“예전과 달리 연구 단계에서 실제 치료 단계까지 가는 시간이 많이 짧아졌다. 내부 구성원과 국내외 유명 연구자를 초빙해 우수한 연구 성과를 내고 이를 암 진단과 치료에 반영할 계획이다. 무엇보다 환자의 주권 보장은 세계적인 흐름이다. 후마니타스 정신과 일맥상통한다. 진료와 치유를 결합한 새로운 시스템으로 개인의 인간다움을 지킬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

김선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