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싱크홀, 지하 노후 하수관이 원인…교체공사 더디기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2면

최근 부산에서 도로 등이 내려앉는 싱크홀이 잇따르고 있지만 주원인인 지하의 낡은 하수관 교체공사는 더디기만하다. 부산시 예산이 부족한데다 국비마저 제때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8300여㎞ 중 58%가 20년 이상
교체 시급 노후 관로만 134.5㎞
국비 확보 쉽지 않아 지연 불가피

1일 부산시에 따르면 지난 5년(2011년~2016년)간 부산 도심에서 총 33건의 싱크홀이 발생했다. 원인별로는 10건(30%)이 공사 과정에서의 다짐불량이었고, 23건(70%)이 노후 하수관의 파손 등으로 나타났다. 싱크홀 발생 빈도는 최근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와 올해 발생한 싱크홀이 지난 5년간의 절반 가량인 16건이나 된다.

부산시내에는 우수관로(빗물+생활하수)와 오수관로(대·소변 오염수)를 포함한 하수관로가 총 8300여㎞ 매설돼 있다. 이 중 20년 이상 노후 하수관은 4780㎞(58%)에 이른다.

특히 시가 이 가운데 교체가 시급하다고 판단하는 노후 관로는 134.5㎞이다. 이런 노후관에서 하수 등이 새면 주변에서 언제든지 싱크홀이 발생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지난 28일 오전 7시쯤 동래구 사직동 사직여고 앞 도로에 가로 5m, 세로 4m, 깊이 5m 크기로 생긴 싱크홀이 대표적이다. 이 싱크홀은 싱크홀 아래 지름 600㎜의 하수관에서 샌 생활하수로 토사가 유출되면서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지만 평일 출퇴근 시간에 발생했다면 자칫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아찔한 순간이었다.

시민 정모(33)씨는 “길을 걷다가 갑자기 땅이 꺼질 수 있다고 생각하면 등골이 오싹하다”고 말했다.

부산시는 교체가 시급한 노후관(134.5㎞)을 2020년까지 교체할 계획이다. 필요 예산은 1000억원 정도다. 하지만 국비 확보가 쉽지 않아 교체가 지연될 것으로 보고 있다. 시가 내년도 분으로 요청한 국비 54억원도 15억원 정도만 반영될 전망이다.

시 생활하수과 관계자는 “다른 사업의 국비 지원 비율은 절반 수준이나 노후관 정비 사업은 30%에 그치고 있고, 이마저 줄이겠다는 이야기가 나와 걱정”이라고 말했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 전재수 (더불어민주당,부산 북·강서갑) 국회의원은 “노후관 누수로 인한 싱크홀은 국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사안이어서 국비확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강승우 기자 kang.seungwo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