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취재일기] 대우조선 여신등급이 아직도 ‘정상’이라니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8면

기사 이미지

이태경
경제부문 기자

“혁신안에 대우조선해양의 여신건전성 등급을 하향 조정한다는 내용은 없군요. 그게 핵심 아닌가요?”

산업은행·수출입은행이 23일 발표한 혁신방안에 대한 시중은행 여신담당자의 공통 반응이다. 두 국책은행이 은행업 감독규정 상 5등급(정상·요주의·고정·회수의문·추정손실) 중 ‘정상’으로 분류한 대우조선 채권을 ‘요주의’(채권 회수 잠재 위험요인 존재)’로 한 단계 낮춰야 한다는 얘기다. 지난해 5조원대 손실이 공개된데다 감사원 감사에서 1조5000억원의 분식회계 정황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이미 신한·KB국민은행이 대우조선 여신등급을 요주의로 내린 데 이어 다른 시중은행도 하향 조정을 검토하고 있다.

그런데도 산은·수은은 “조선업과 지역경제·국가경제에 미칠 영향을 다각도로 검토해야 한다”며 정상 등급을 유지하고 있다. 두 은행의 대우조선 여신이 13조원(산업은행 4조원, 수출입은행 8조9903억원)으로 금융권에서 가장 많기 때문에 요주의로 내리면 경제 충격이 크다는 ‘대마불사’ 논리다.

이는 시장의 다수 여론과는 동떨어진 주장이다. 해외선주·투자자는 이미 선박건조 발주나 주식·채권 투자 때 대우조선의 신용도를 낮춰서 반영하고 있다. 국내 신용평가사들이 높은 부채비율(지난해 말 7308%)을 감안해 대우조선의 신용등급을 투기등급(BB)으로 강등했기 때문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도 “여신등급을 요주의로 내린다고 해서 대우조선의 수주 활동이 더 위축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권에선 산은·수은이 ‘방만경영을 혈세로 메운다’는 비판을 피하기 위해 대우조선 여신등급을 정상으로 유지하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요주의 등급으로 바꾸면 두 은행은 대출금의 7~19%에 해당하는 대손충당금을 쌓아야 한다. 이렇게 되면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은 지금(산은 14.6%, 수은 9.89%)보다 더 떨어질 수 밖에 없다. BIS 비율을 끌어올리기 위해 정부·한국은행에 대규모 자본확충을 요청해야 한다.

산은·수은 입장에선 대우조선에 4조2000억원을 지원하기로 한 지난해 10월 결정을 스스로 뒤집어야 하는 부담도 있다. 여신등급을 요주의로 내리면 아직 집행하지 않은 1조원은 회수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우려 때문에 대우조선의 여신을 지금처럼 정상 등급으로 놔두면 두 은행에 대한 국민적 신뢰도는 더 떨어질 수밖에 없다.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릴 순 없는 노릇이다. 지금이라도 대우조선의 여신 등급을 하향 조정하고 방만경영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 그게 바로 국책은행 혁신의 첫걸음이다.

이태경 경제부문 기자 unipe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