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잠정 중단 후유증 심각] 전북 반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전북 도민들이 법원의 새만금사업 중단 결정에 초강수의 수단과 방법을 동원하며 반발하는 것은 지역발전에 대한 기대가 일시에 무너질 위기감을 느꼈기 때문이다.

전북 도민들은 1991년 착공한 새만금방조제가 완공되면 서울 여의도의 1백40배나 되는 1억2천여만평의 국토가 새로 조성돼 낙후된 전북의 경제가 크게 개선될 것으로 확신했었다.

8천5백여만평의 우량 농지를 확보해 전국 쌀 생산량의 3%에 해당하는 연 14만t을 생산하고, 3천5백여만평의 담수호에 연간 10억t의 물을 확보해 물 부족에 대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새만금 지역을 화훼.원예.신품종 시범단지 등 첨단 생명농업과학단지로 개발하고, 중국과의 최단거리라는 지리적 이점을 살려 동북아 물류 중심지로 발돋움하겠다는 게 도민들의 꿈이었다.

신시도 옆에 동남아 최대 항구를 만들어 곧바로 철도로 연결되는 유통중심지역으로 전북이 탈바꿈하는 기회로 삼을 계획이었다.

33㎞의 방조제로 연결된 신시도.선유도 등을 국립공원 내변산과 연계해 국내 최고의 관광단지로 개발한다는 계획도 진행 중이었다.

이 같은 도민들의 기대가 공사 중단이라는 최악의 사태로 한순간에 물거품이 될 위기에 놓인 것이다.

99년부터 환경단체들은 새만금이 '제2의 시화호'가 될 수 있다며 공사 중단을 끊임 없이 요구해 왔다.

이에 유종근 전 전북지사는 민관 합동조사반을 구성해 새만금 담수호 수질 등 제기된 문제점에 대한 검토를 했다.

이에 따라 99년 5월부터 2년여 동안 공사가 중단됐었다.

이후 2001년 5월 새만금을 친 환경적으로 개발한다는 조건으로 공사가 재개됐다.

그러나 현 정부 들어서면서 환경단체 등의 '새만금 흔들기'가 더욱 심해졌다는 게 전북 도민들의 주장이다. 이 같은 요구에 정부가 부응하는 듯한 모습으로 비춰진 것도 도민들의 심기를 불편하게 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행정법원의 공사 중단 결정은 불난 집에 기름을 붓는 격이 됐다.

상공회의소.전북애향운동본부.주부클럽연합회.주민.공무원.종교인 등 거의 전 도민이 공사 재개를 주장하고 나선 것이다.

원자력 폐기물 관리시설의 부안군 유치 신청 철회, 전국체전 반납 등에 대한 결의도 비장하다.

특히 김종규 부안군수는 "정부가 신뢰를 잃은 만큼 원자력 폐기물 관리시설 유치에 따른 정부 지원도 믿을 수 없게 됐다"며 유치 철회 이유를 설명했다.

도내 경제인은 물론 체육단체까지 나서 10월 전주에서 열릴 예정인 전국체전을 거부하기로 결의했다.

전주=서형식.장대석 기자<dsjang@joongang.co.kr>
사진=양광삼 기자 <yks2330@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