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려가던 한진해운, 체납 용선료 1000억에 발목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3면

기사 이미지

2일 여의도 한진해운 본사에서 사채권자 사전설명회가 열였다. 한진해운은 27일 상환해야 하는 1900 억원의 회사채 만기 연장을 추진하고 있다. [뉴시스]

한진해운이 구조조정을 위해 1000억원 이상의 추가 자금을 마련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해외 선주가 “지금까지 밀린 1000억원 이상의 용선료(배를 빌린 비용)를 갚아야 잔여 계약기간의 용선료 조정 협상을 할 수 있다”며 버티고 있기 때문이다.

해외선주 “다 갚아야 용선료 협상”
추가자금 자체 마련 어려워 고민
“그룹차원서 지원” 목소리 커져

한진해운이 용선료에 발목을 잡힐 거라는 건 채권단도 예상하지 못했다. 지난달까지만 해도 경영정상화가 순조롭게 진행되는 듯했다. 지난달 13일 제3의 글로벌 해운동맹인 ‘디얼라이언스(THE Alliance)에 가입한데다 19일에는 첫 사채권자 집회에서 회사채 만기를 4개월 연장했다.

그러나 지난달 하순부터 이상 기류가 감지됐다. 지난달 24일 컨테이너선주 나비오스가 용선료 체납을 이유로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한진해운 배를 억류했다가 3일 만에 풀어줬다. 같은 날 한진해운이 캐나다 선주사인 시스팬에 138억원 가량의 용선료를 연체했다는 사실도 해외 언론을 통해 공개됐다. 이러자 다른 선주들도 “체납 용선료를 갚지 않으면 앞으로 낼 용선료를 조정해 줄 수 없다”고 나서면서 상황이 악화됐다.

채권단은 한진해운이 스스로 추가 자금을 마련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 4월 채권단 공동관리(자율협약) 신청 때 이미 부산 사옥 매각 등을 통해 4100억원의 자금을 마련한다는 자구책을 제출했기 때문이다. 더 이상 팔 자산이 마땅치 않다는 얘기다.

이러자 채권단에서는 대주주인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의 사재 출연이나 한진그룹 차원의 지원이 있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채권단 관계자는 “경영권 포기각서를 쓴 조 회장에게 지원을 요구할 순 없지만 조 회장과 한진그룹이 자진해서 나서주면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조 회장과 한진그룹이 한진해운을 지원할 경우 금호산업을 되찾은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의 사례처럼 향후 경영정상화 때 주식 우선매수청구권을 줄 수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조 회장은 2013년 제수인 최은영 전 회장을 대신해 한진해운의 ‘구원투수’로 나섰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부실 책임은 크지 않다는 게 채권단의 판단이다.

반면 법정관리 행까지 거론되던 현대상선은 경영정상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채권단은 용선료 협상이 다음주께 타결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난달 31일~이달 1일 열린 사채권자 집회에서는 8000억원 규모의 회사채에 대한 채무조정(50% 출자전환, 50% 2년 뒤 3년간 분할상환)도 가결됐다.

이제는 글로벌 해운동맹 가입을 타진하고 있다. 현대상선은 2일 서울에서 ‘G6(글로벌 주요 6개 선사) 해운동맹 정례회의’를 열어 운항에 대해 논의했다. 참여 선사 중 3곳(독일 하팍로이드, 일본 MOL·NYK)은 현대상선이 가입을 추진하는 ‘디얼라이언스’ 소속이다. 애초 윤학배 해양수산부 차관이 이들 3개 선사를 만나 현대상선의 해운동맹 편입을 설득하려 했으나 선사들이 “실무 회의에서 정부 관계자를 만나는 건 부담스럽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면담이 취소됐다.

이태경·문희철 기자 unipe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