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두환 전 대통령 측 "회고록 통해 과거사에 대한 입장 밝힐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기사 이미지

전두환 전 대통령 측은 17일 “과거사에 대한 정리된 입장은 회고록을 통해 밝히겠다”고 말했다.

전 전 대통령의 민정기 전 비서관은 이날 월간지 ‘신동아’가 전 전 대통령의 “(5ㆍ18 당시) 어느 누가 국민에게 총을 쏘라고 했겠느냐. 바보 같은 소리 하지 말라고 그래”라는 발언을 공개한 데 대해 “전 전 대통령과 이순자 여사가 언급한 내용들은 언론과의 인터뷰를 예상해서 사전에 준비된 말씀이 아니다”며 “전 전 대통령과 이순자 여사는 각각 회고록과 자서전을 출간하기 위해 원고를 마무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신동아는 이날 발간된 6월호에서 전 전 대통령이 1980년 5·18 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의 발표 명령 책임에 대해 “보안사령관(전 전 대통령)은 정보ㆍ수사 책임자요. 보안사령관이 청와대를 꺾고 이렇게는(발포 명령을) 절대 못 해”라고 주장했다고 보도했다.

전 전 대통령의 발언이 공개되자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원내대표는 “5·18 영령들을 정면으로 모독하는 발언이다. 그러면 그때 총 쏜 군인들이 알아서 쏜 건가. 말도 안 되는 소리를 그렇게 5·18 직전에 하고 계신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이런 문제에 대해서 또 그렇게 면피 하려고 그렇게 하실 필요 없다고 생각한다”며 “역사에 대한 책임을 지고 내란죄로 처벌 받으신 양반이 지금 와서 그런 얘기를 할 염치가 있는지 모르겠다”고도 말했다.

민 전 비서관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전 전 대통령 내외가 종교계(천태종) 지도자를 접견하는 자리에 정호용 전 국방장관, 고명승 전 3군 사령관, 김충립 목사를 비롯해 신동아 기자 2명이 배석했다고 한다. 그는 “기자와 인터뷰하는 자리도 아니었고 종교계 지도자를 접견하는 자리였을 뿐”이다며 “참석자 그 누구도 전 전 대통령이 5.·18문제 등 과거사에 대한 전 전 대통령의 입장과 관련해서 의견을 나눌 수 있는 ‘측근’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신동아는 “사과할 의향이 없느냐”는 질문에 전 전 대통령이 “광주에 내려가 뭘 하라고요”라고 답했다고도 보도했다. 부인 이순자 여사도 “각하(전 전 대통령)께서 광주에 가서 돌을 맞아 5·18 희생자 유가족들의 오해와 분이 다 풀린다면 뭘 못 하겠느냐. 모두가 (전 전 대통령을) ‘5·18 책임자’라고 하는데 이걸(발포 책임을) ‘오케이’ 하는 건 별개 문제다. 목에 칼이 들어와도 아닌 건 아닌 건데…”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고 전했다.

위문희 기자 moonbright@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