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문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1면

한 나라의 미래는 우리 청소년의 ㈎가치관에 따라 결정된다고 생각한다. 세계 여러나라가 청소년의 건전한 가치관 형성을 위하여 교육과 청소년문화육성에 심혈을 기울이는것도 이런이유㈏일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청소년 문화행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사실은 퍽다행스러운 일이다. 그러나 ㈐여기에서 필자는 청소년의 한 사람으로서 몇가지 문제점을 지적하고 싶다.
우리청소년의 문화가 정착되기 위해서는 먼저 사회풍토가 개선되어야 한다. 일류대학을 나와야만하고 또 좋은 기업체에 취직해야만 사람 대접을 받는 사회 풍토는 우리들을 학교 공부에만 얽매이도록 강요한다. 또한 이것을 견디지 못하는 우리 친구들에게 비행을 저지르게 하는 직접적 원인이 되기도 한다.
두번째로 지적되어야 할점은 청소년 문화행사가 너무 서구적으로 흐르고 있다는 것이다. 요즘 상연되고 있는 연극이나 연주회따위는 거의가 서양사람의 작품이다. 우리가 고유의 것조차 알지못하는 상태에서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는 서구문화는 우리의 ㈑모습을잃게 할 가능성이 있다. 먼저 우리것을 찾는 노력이 선행되고 그속에서 서양문화를 수용할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겠다.
마지막으로 ㈒지적되어야 할 문제점은 우리들의 문화가 기성세대에 의해 일방통행적으로 주어졌다는 점이다. 우리문화의 주인은 우리 청소년들다. 우리가 참여할수없는 문화는 이미 우리의 것일수 없다. 우리는 스스로 문화를 접하고 또 새로운 문화를 창조해내야한다. 그러기 위해 우리는 적극적이고 능동적이어야한다. 조국의 미래가 달려있는 건실한 청소년 문화 창조를 위하여 기성세대는 건전한 사회풍토 조성을 위하여 노력해야하며, ㈓우리는 우리 문화창조의 주역이라는 사실을 깨닫고 적극적인 문화창달 의욕을 보여야겠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