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샘암 10~20%는 암 아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기사 이미지

[일러스트 중앙포토]

국제 암전문가 위원회가 갑상샘암의 한 종류를 암이 아닌 양성 종양으로 새로 분류했다. 이에 따라 국내 의료계의 암 진단과 치료 기준에도 적잖은 변화가 예상된다.

미국 국립암연구소(NCI) 의뢰로 세계 7개국 의사·병리학자들로 구성된 전문가 위원회는 지난 14일(현지시간) “갑상샘암의 한 종류인 ‘소포 변형 유두 갑상샘암(EFVPTC)’을 암 리스트에서 제외하고 명칭도 ‘비침습적 소포 갑상선 종양(NIFTP)’으로 바꾸기로 했다”고 밝혔다. EFVPTC는 종양 조직이 주머니 모양의 피막으로 둘러싸여 주변 장기로 전이되지 않는 감상샘암을 뜻한다.

위원회는 13개 의료기관에서 EFVPTC로 진단받은 환자 109명의 10~25년간 변화 추이를 지속적으로 관찰했다. 그 결과 종양이 섬유질 피막 내에만 머무르는 EFVPTC의 경우 환자의 건강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위원회는 “EFVPTC 환자의 경우 별도의 치료를 받을 필요가 없으며, 오히려 치료하면 몸에 해롭다”는 결론을 내렸다. 기존 갑상샘암 치료는 갑상샘 일부나 전체를 잘라내는 수술을 받은 뒤 방사성 요오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수술 뒤엔 평생 갑상샘 호르몬제나 칼슘제를 복용해야 하며 목소리 변형 등 부작용에 시달리기도 한다.

위원회를 이끈 유리 니키포로프 피츠버그 의대 교수는 “암이라고 진단하는 순간 환자에게 심리적·육체적·재정적으로 불필요한 부담을 안긴다는 판단에 따라 아예 명칭을 종양으로 바꾸기로 했다”며 “한때 암으로 규정됐던 질병을 암이 아니라고 새로 규정한 것은 현대 의학사에서 처음 있는 일”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적인 종양학 학술지인 ‘자마 온콜로지(JAMA Oncology)'에 실렸다.

위원회는 이번 조사 결과로 기존에 갑상샘암으로 진단받은 환자 중 10~20%가 암에서 해방될 수 있을 것으로 추산했다. 뉴욕타임스도 “매년 미국에서 새로 발생하는 갑상샘암 환자 6만5000명 중 약 1만 명이 암 진단을 받지 않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한국은 2008년 이후 인구 비례상 세계에서 갑상샘암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나라다. 2013년엔 인구 10만 명당 71.3명이 갑상샘암 진단을 받았다. 세계 평균의 10배가 넘는 수치다.

안형식(예방의학) 고려대 의대 교수는 “국내 갑상샘암 중 EFVPTC 환자 비율도 10~20%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이에 따르면 매년 갑상샘암 신규 환자 4만2500여 명 중 많게는 8000명 이상이 암 환자라는 꼬리표를 뗄 수 있게 된다.

이에스더 기자 etoil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