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초 과학교육 위축 우려|해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1면

서울대의 「군살빼기」작업은 졸업정원제로 무조건 불린 학생정원의 합리적 조정작업으로 볼수 있다.
졸업정원제가 시행되면서 30%의 초과모집인원까지 합치면 81학년도부터 서울대는 전년도의 2배에 해당하는 인원을 받아들여야 했고 전국대학의 교수요원양성을 목표로 했던 서울대 교육방침은 이때부터 공염불이 됐었다.
서울대에 대한 입학수요만을 고려한다면 사실은 지금보다 2배를 더 늘려도 모자라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일본의 동경대가 이같은 수요에 못이겨 또하나의 대학(교양대학)을 세우면서도 그 기능을 잃지 않은 것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그런 점에서 본다면 단순히 재수생 해소를 위해 서울대 입학인원을 한꺼번에 2배로 늘려버린 변혁은 시정될 필요가 있다.
다만 자연대의 물리학과나 화학과를 비롯, 공대의 전자·전기공학과 등 기초·첨단과학분야까지 이같은 맥락에서 축소하려는 계획은 자연계확대나 첨단과학기술분야 교육강화라는 정부방침은 물론 돈이 많이 드는 이 분야교육을 국립대가 맡아나가는 세계적 추세와도 어긋나는 것으로 보인다.
물론 서울대로서는 정상교육을 위한 실험실습시설의 부족·교수요원확보난 등을 이유로 들고 있지만 국가발전계획이나 국제경쟁력이 강한 인재양성이란 점에 착안한다면 이 분야는 서울대가 포기하기보다는 국가가 투자를 확대하는 방향의 접근이 있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덕령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