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 지도부에 자율권 주고, 대통령은 조정 역할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7면

기사 이미지

이원종(사진) 전 청와대 정무수석은 박근혜 대통령에게 “3당 대표들을 빨리 만나라”고 주문했다. “지금 가장 급한 사람은 박 대통령이 아닌가”라고 반문하면서다. 그러면서 3당 체제라는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영삼(YS) 전 대통령 때 ‘왕수석’으로 불린 그는 여소야대 정국을 두루 경험했다. 청와대 정무수석 시절 14, 15대 국회가 모두 여소야대였다. 다음은 문답.

여소야대 정국에서 박 대통령이 가장 먼저 할 일은.
“몸을 낮춰야 한다. 야당 대표들을 만나 설득하고 대화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야당이 국정의 발목을 잡는다고 불평하고 야단만 치면 그걸 보는 국민도 마음이 안 좋다. 이번 총선 결과가 잘 보여주지 않았나. 국민이 무섭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여권은 어떻게 이 상황을 추슬러야 할까.
“대통령이 여당에 자율권을 줘야 한다. 집권당도 협력의 대상이지 관리와 통제의 대상이 아니다. 반대할 권리를 줘야 책임도 질 게 아닌가. 우선은 엉망이 된 여당의 지도부가 민주적으로 구성되도록 내버려둬야 한다.”
3당 체제에서 대통령은 어떻게 운신해야 하나.
“우선 국민의당이 챙기는 중점 정책을 살펴봐야 한다. 주장에 일리가 있으면 받아들여야 한다. 국가를 위해 그렇게 해야 한다. 더불어민주당과도 협력해야 한다. 서로를 인정하고 활용하고, 거래하는 것이 정치다.”
YS 시절엔 어땠나.
“김대중 전 대통령과 자주 만나 소통했다. 개인적인 호불호를 떠나 전략적 협력을 했다. 논쟁은 당과 당이 벌이고, 대통령은 조정자로서 통합의 역할을 하기 위해 노력했다. 대통령이 국회를 야단치면 안 된다. 통합자로서의 역할이 청와대가 가진 무기다.”
이번 총선이 차기 대선에 미칠 영향은.
“3당 구도는 모두에게 기회가 될 수 있다. 현재의 구도를 누가 적극 활용하는가에 따라 판도가 확 바뀐다. 여권에서도 무모한 도전의 깃발을 드는 이가 나와야 한다. 지금은 그런 이가 안 보인다.”
야권에 조언한다면.
“여당의 실정으로 얻은 반사이익의 측면이 크다. 호남에서 새누리당 당선자가 나온 것은 호남 유권자들이 합리적 선택을 하기 시작했다는 조짐이다. 지역 기반에만 안주하지 말고 국민의 선택을 받을 수 있게 정책을 가다듬어야 한다.”

전수진 기자 chun.suj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