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해군 해난구조대 세계 최초 1만시간 무사고 기록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한국해군의 해난구조대(SSU)가 ‘포화잠수’ 1만시간 무사고 기록을 세웠다. 포화잠수는 헬륨과 산소를 혼합한 특수기체를 마시며 실시하는 잠수다.

주로 심해 작업을 위해 실시하며 잠수사가 수상함에 설치된 챔버에 들어가 작전을 수행할 바다의 수심의 압력과 환경에 맞도록 신체 조건을 조절한 뒤 장시간 물속에 머물게 된다.

3명씩 3개 조를 이뤄 수행하며 국제규범에 따라 수심 300m를 기준으로 챔버 가·감압 14일, 실제 수중작전 14일을 합해 최대 28일 동안 진행된다. 잠수병 예방을 위해 산소 1.3%, 헬륨 98.7%의 혼합 기체를 사용한다.

이 때문에 극도의 체력소모와 압력을 이겨내야 한다. 해군 관계자는 “민간부분에선 2006년 미국의 민간 감수회사에서 1만시간 무사고 기록을 세우긴 했지만 군에서 이같은 기록은 세운건 대한민국 해군이 처음”이라고 말했다.

기사 이미지

군 분야에서 세계 최초로 포화잠수 1만시간 무사고 기록을 달성한 해군 해난구조대(SSU) 대원들이 진해 기지에서 필승을 다짐하고 있다. [사진 해군]

해군은 1995년 영국에서 심해잠수 기법을 배워와 96년 포화잠수 능력을 갖춘 잠수함구조함인 청해진함(3200t)을 도입하면서 본격적인 심해잠수에 나섰다. 20년 만에 포화잠수 1만시간 무사고 기록을 달성한 셈이다. 해군은 지난 6일 이기식 해군 작전사령관 주관으로 ‘포화잠수 1만시간 무사고 달성 기념식’을 열었다.

해군 관계자는 “잠수함 조난사고 구조 능력을 갖추기 위해 95년과 97년 영국 포화잠수 훈련센터에 잠수사 40명을 파견해 교육을 받도록 했고 2005년에는 심해잠수훈련장을 지어 포화잠수 능력을 배양해왔다”고 말했다.

해군의 이같은 노력은 99년 전남 여수 앞바다에서 한국 해군이 격침시킨 북한의 반잠수정 선체를 건져 올리며 빛을 발했다. 당시 수심 147m 해저에서 포화잠수사들이 위치를 확인하고 체인을 연결해 인양하는데 성공했다.

또 2012년 북한이 발사한 장거리 미사일 잔해를 수심 89m에서 인양했고, 지난해엔 가거도 인근 해역에 추락한 해경 헬기를 수심 87m에서 인양하기도 했다. 현재 우리 해군은 300m 수심에서 14일 동안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포화잠수 능력을 갖추고 있다. 포화잠수 기법은 1940년대 미국 해군이 처음으로 개발했으나 우리 해군의 포화잠수 능력은 세계 최고 수준으로 인정받고 있다.

현재 해군에는 70여명의 포화잠수사들이 있으며 이 가운데 95년 영국에서 교육을 받은 첫 세대에 속하는 우종현(47) 원사는 포화잠수 국내 최장기록(2785시간 10분) 을 보유하고 있다.

해군 관계자는 “99년 북한 반잠수정 선체 인양작전 당시 우 원사가 유언장을 써놓고 해저로 내려갈 정도로 포화잠수는 위험한 작업”이라며 “앞으로도 무사고 기록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교육과 훈련을 철저히 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정용수 기자 nkys@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