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김정은 “핵탄 경량화·표준화” 한·미 “그럴 능력 없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기사 이미지

북한이 9일 핵탄두 소형화에 성공했다고 주장하면서 핵탄두로 추정되는 물체를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살펴보는 사진을 노동신문을 통해 공개했다. 김정은 앞의 원형 물체는 내폭형 핵폭발장치로 미사일 윗부분에 탑재하면 핵탄두가 된다. 김정은은 “핵탄을 경량화해 탄도 로켓에 맞게 표준화·규격화를 실현했다”고 주장했다. [사진 노동신문]

북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핵탄두 소형화를 언급했다. 북한 관영 노동신문은 9일 김 제1위원장이 “핵탄을 경량화해 탄도 로켓에 맞게 표준화·규격화를 실현했다”고 말하며 핵탄두로 추정되는 물체를 살펴보는 사진을 실었다.

노동신문에 KN-08과 탄두 사진
“핵으로 먼저 냅다 칠 것” 위협도

조립 중인 ‘KN-08’ 4~5기와 함께 그 탄두 부분의 내부 설계도도 흐릿하게 처리해 보도했다. KN-08은 미국 본토 공격을 위해 북한이 개발해 온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이다. 북한이 핵탄두 소형화에 성공했다고 주장한 건 여러 차례 있었으나 관련 핵탄두와 내부 구조까지 공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기사 이미지

북한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KN-08도 이날 함께 공개했다. 앞의 3단 추진체 끝에 핵탄두를 실어 뒤에 보이는 1·2단 추진체로 발사하며 최대 사거리는 1만2000㎞다. [사진 노동신문]

노동신문은 김 제1위원장이 핵무기 연구 분야의 과학자·기술자들을 만나 핵무기 병기화 사업을 지도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김 제1위원장이 “전술 및 전략 탄도로켓전투부들에 핵무기를 장착하기 위한 병기화 연구 정형에 대한 해설을 듣고 핵탄두의 구조작용 원리를 료해(이해)했다”고 전했다.

김 제1위원장은 핵탄두와 관련해선 “우리 식 혼합장약(폭약) 구조로서 열핵반응이 순간적으로 급속히 전개될 수 있는 합리적인 구조로 설계된 핵탄두가 대단하다”며 “핵 선제타격권은 결코 미국의 독점물이 아니다. 미제가 우리의 자주권 을 핵으로 덮치려 들 때는 핵으로 먼저 냅다 칠 것”이라고 위협했다. 북한은 그러나 김정은의 현지지도 장소나 시점은 공개하지 않았다. 과거 예로 보면 하루 전인 8일일 것이라고 당국자들은 전했다. 한국 정부가 독자 대북제재를 발표한 날이다.

◆북한, 핵탄두 보유 사실인가=노동신문이 공개한 사진은 내폭형 핵폭발장치다. 내부에 플루토늄이나 고농축우라늄 등 핵물질을 담고, 핵폭발을 일으키는 장치인 기폭장치가 결합된 형태다. 이를 미사일 윗부분에 탑재하면 핵탄두가 된다. 북한의 핵탄두 보유 가능성에 대해선 판단이 엇갈린다. 이날 공개된 사진이 실물일 수 있다는 가능성도 제기된다. 통상 핵실험 이후 2~7년이면 핵무기를 보유하는 게 일반적인데 북한은 이미 10년 전인 2006년 1차 핵실험을 했기 때문이다.

이춘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이 핵탄두가 실물이라면 직경 56㎝ 정도, 무게는 500~700㎏으로 보인다”며 “노동미사일이나 스커드미사일에 탑재 가능하다. 소형화가 상당히 진전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반면 북한 관련 군사전략 전문가인 통일연구원 차두현 연구위원은 “‘혼합장약’이란 표현을 쓴 것은 순수한 수소탄이 아니라 삼중수소 등을 추가하는 증폭분열탄 정도 수준”이라며 “실제로 소형화에 성공했다면 관련 핵실험을 한 번 더 실시하는 게 과학적으로 옳은 수순이다. 이번에는 대외적으로 핵 위력을 과시하겠다는 제스처”라고 말했다.


▶관련 기사
① 북한 김정은 "핵탄두, 임의의 순간 쏠 수 있게 준비해야"…대북 제재 강력 반발
② 미사일 생산 추정되는 공장…김정은, 유엔 보란 듯 시찰



한·미 군 당국은 북한의 소형화 주장을 묵살했다. 국방부 문상균 대변인은 “지금까지 북한이 소형화된 핵탄두와 KN-08의 실전능력을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한다” 고 했다. 피터 쿡 미 국방부 대변인도 8일(현지시간) “북한이 탄두를 소형화하는 능력을 실증하는 것을 본 적이 없다”고 말했다.

다만 사진의 진위와 상관없이 북한의 소형화 기술은 상당 부분 진보하고 있다는 데는 전문가들과 정부 당국의 판단이 일치한다. 차 연구위원은 “첫 핵실험(2006년) 뒤 기술적 진보 속도를 보면 5년 안에는 소형화 탄두 탑재가 가능할 수 있다”고 말했다.

육사 출신 안보 전문가 박휘락 국민대 정치대학원장은 “핵폭탄의 표준화·규격화를 언급한 것은 앞으로 대량생산까지 계획한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전수진 기자 chun.suj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