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민주노총 방문해 노동계에 '쓴소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기사 이미지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 [사진 조문규 기자]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대표가 노동계의 사회ㆍ정치참여에 대한 ‘쓴소리’를 했다.

김 대표는 7일 서울 중구 민주노총 사무실을 방문한 자리에서 “노조가 사회적 문제에 관해 간혹 관심을 가질 때도 있다”며 “너무 거기에 집착하면 근로자의 권익 보호에는 상당히 소외되는 분야가 있는 것 같아 매우 안타깝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이어 “어디까지가 노조의 활동인가 라는 한계가 우리나라에 분명하지 않은 것 같다”며 “노조가 실질적으로 근로자 권익을 위해서만 활동을 하는 것이냐, 그렇지 않으면 사회 전반적인 문제까지 활동영역을 넓히느냐 하는 것이 우리 사회의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되지 않나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노조를 방문한 자리에서 노동계에 대한 비판적 의견이 제시되자 면담 현장에는 긴장감이 흘렀다고 한다. 김 대표와 동명이인(同名異人)인 민주노총 김종인 부위원장은 “노조가 노동자의 권익을 위해 활동해야 한다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말씀이다. 하지만, 테러방지법과 관련해서는 정치인뿐 아니라 민노총 간부 등도 국정원, 경찰, 검찰이 통신조회를 한다”며 “이런 이유가 있어 노동자 권익을 넘어 (노조가) 그런 문제에도 관심을 가져야 하지 않겠느냐. 그 부분에 대해서 김 대표도 충분히 이해하실 거라 믿는다”고 받아쳤다.

그러자 김 대표는 “노사 간 대화가 기업의 실정에 따라서 잘되는 곳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곳이 많다보니 노사관계가 굉장히 긴장되고 있고, 그것이 한국경제의 발목을 잡는 형태로 비춰지고 있다”고 했다. 이어 “이 점을 빨리 노사 양쪽이 해소하는 노력을 해야만 노사관계도 평온을 유지하고 경제도 정상적으로 돌아갈 수 있다”고 했다.

김 대표는 앞서 한국노총을 방문해서는 “지금 경제적으로 여러 가지 문제가 많지만 전반적인 경제상황을 포괄하는 측면에서 노동법을 고쳐야 한다”며 “일방적으로 노동쪽만 마치 문제가 있는 것처럼 하다 보니 사회가 조화되지 않고 갈등구조만 점점 벌어지지 않나 싶다”고 말했다.

강태화 기자 thka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