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매거진M] “왕자님은 필요 없어”…편견·폭력에 맞선 그녀들-대사로 본 여성 주인공 영화 셋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여성이 나오는 영화는 많다. 그러나 대개 수동적인 존재로 등장할 뿐, 여성이 진짜 주인공인 영화는 흔치 않다. 한국뿐 아니라 할리우드도 사정은 비슷하다.

영화 ‘룸’(3일 개봉, 레니 에이브러햄슨 감독)과 ‘조이’(10일 개봉, 데이빗 O 러셀 감독) 그리고 지난달 개봉해 꾸준히 관객을 모으고 있는 ‘캐롤’(토드 헤인즈 감독)을 주목해야 하는 건 그래서다.

세 영화 모두 세상의 편견과 폭력에 ‘자기다움’으로 맞서는 여성이 주인공이다. 얼마 전 열린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에 모두 후보로 이름을 올렸을 정도로 작품성을 인정받았고, ‘룸’의 브리 라슨(25)은 여우주연상을 거머쥐기도 했다. 마음을 움켜쥔 각 영화의 대사로, 아름다운 세 여자를 소개한다.

기사 이미지

세상의 편견과 폭력에 맞서는 여성이 주인공인 영화들. ‘룸’. [사진 각 영화사]

 “잭, 세상은 아주 커. 얼마나 큰지 상상도 못할 걸.”(룸)

 7년 전 한 남자에게 납치돼 작은 창고에 갇히게 된 조이(브리 라슨)는, 지옥 같은 날을 보내던 중 아들 잭(제이콥 트렘블레이)을 낳게 된다. 헌신적으로 잭을 돌보던 조이는 아들이 다섯 살 생일을 맞게 되자 더 이상 좁은 방안에 가둬 둘 수 없다고 결심한다.

 ‘룸’은 참혹한 상황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는 조이의 강인함을 줄기로 전반부를 이끌어 간다. 감옥과 같은 방 안에서도 조이는 자기만의 방식으로 최소한의 인간다움을 지키기 위해 필사적으로 노력한다.

매일 빨래를 잊지 않으며, 생일에는 케이크를 만들고 아이의 놀이와 운동을 멈추지 않는다. 그 모습이 아름답고 짠하게 펼쳐지는데, 덕분에 조이가 잭에게 진짜 세상을 보여주기 위해 탈출을 감행하는 순간이 더욱 빛난다. 실화를 토대로 한 엠마 도노휴의 동명 소설이 원작이다.

기사 이미지

세상의 편견과 폭력에 맞서는 여성이 주인공인 영화들. ‘조이’. [사진 각 영화사]

 “왕자님은 필요 없어. 이건 아주 특별한 능력이거든.”(조이)

 또 다른 조이(제니퍼 로렌스)는 가난한 싱글맘이다. 불만투성이인 엄마와 시도 때도 없이 뭔가를 요구하는 아이들, 얹혀 사는 아빠와 전 남편이 그녀의 가족이다. 지쳐가던 조이는 어느 날, 손 대지 않고도 짜서 쓸 수 있는 밀대 걸레에 관한 아이디어를 떠올리고는 곧바로 실행에 옮긴다.

 ‘조이’는 전설같은 여성 CEO 조이 망가노의 삶을 영화화한 작품이다. ‘실버라이닝 플레이북’(2013) ‘아메리칸 허슬’(2014) 등으로 유명한 러셀 감독이 그의 사단이라 할 수 있는 제니퍼 로렌스, 브래들리 쿠퍼와 또 한 번 손을 잡았다.

바닥까지 추락한 상황에서도 포기하지 않는 조이의 모습이 감동적이고 유쾌하게 펼쳐지는데, 압권은 “가족 뒷바라지나 하라”는 핀잔을 듣던 그녀가 홈쇼핑에 직접 등장하는 순간이다.

 유명한 쇼호스트를 쓸 수도 있었지만 조이는 직접 출연을 고집한다. 그리고 방송사에서 권유하는 세련된 원피스 대신 평소 입던 옷을 입는다. “내 모습 그대로 (방송에) 나가겠어요”라고 선언한 것이다.

조이는, 그렇게 자기다움으로 모든 어려움을 돌파한다. “내가 아닌 그 누구도 내 사업에 대해 얘기하지 마”라고 엄포를 놓을 때, 그것이 치기가 아닌 ‘포스’로 느껴지는 여성이 얼마나 될까.

기사 이미지

세상의 편견과 폭력에 맞서는 여성이 주인공인 영화들. ‘캐롤’의 케이트 블란쳇. 캐릭터만큼 여배우들의 연기도 강렬하다. [사진 각 영화사]

 “내가 나를 부정하고 산다면 린디(딸)에게 뭐가 도움이 되겠어?”(캐롤)

  ‘캐롤’은 30만 관객을 그러모으며 아트버스터(대중적으로 성공을 거둔 예술 영화) 반열에 올랐다. 아름다운 영상과 음악, 세련된 연출 모두 호평받았지만, 무엇보다 이 영화의 중심에는 캐롤(케이트 블란쳇)이 있다.

 동성애가 금기시되던 1950년대 미국, 부유한 중년 여성 캐롤은 백화점 직원 테레즈(루니 마라)를 만나 인생이 뒤흔들리는 사랑을 느낀다.

그러나 둘의 관계를 알게 된 캐롤의 남편이 딸 의 양육권을 빼앗겠다고 하며 위기를 맞는다. 양육권을 뺏기지 않기 위해 자신의 성 정체성을 부정해야 할 처지에 놓인 캐롤은, 자기 자신을 인정하는 쪽을 택한다. 그 편이 딸에게도 더 나을 거라 여긴 것이다.

사랑하는 이들을 지키기 위해서는 우선 자신을 받아들여야 하며, 자기 자신을 받아들인다는 건 힘들고도 아름다운 일이라고, 감독은 캐롤의 여정을 통해 이를 잔잔히 그려낸다. 패트리샤 하이스미스의 소설 『소금의 값』이 원작이다.

임주리 기자 ohmaju@joogn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