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서소문 포럼

정치인도 고생이고 정치도 고생인 아마추어 정치 끝내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2면

기사 이미지

최상연 논설위원

세계를 경영하는 미국 정치인도 욕을 먹긴 마찬가지다. 민주주의 교과서인 미국 의회가 슬금슬금 우리 국회를 닮고 있기 때문이다.

화풀이성 물갈이만으론 3류 정치 못 바꿔
모든 길이 국회로 통하는 후진구조 없애야

 워싱턴 특파원으로 일하던 5~6년 전 미 공화당 에드 로이스, 민주당 엘리엇 엥겔 의원을 같은 날 인터뷰한 기억이 있다. 북한의 천안함 폭침에 이은 연평도 포격으로 의회 움직임이 주목되던 때였다.

 오바마 대통령 얘기가 나오자 로이스 의원이 “마르크시스트 대통령에 빨갱이 정부”라고 내뱉어 깜짝 놀랐다.

 조금 뒤 엥겔 의원과 보좌진에게 공화당은 오바마의 정책이 마음에 들지 않는 모양이라고 묻자 “미 의회에 파리떼가 늘었는데 공화당의 썩은 냄새 때문”이라며 씩씩댔다. 중간선거 직후로 공화당 의원이 크게 늘어난 상황이었다. 한 술 더 떠 “미국 유권자들이 북한·이란을 싫어하지만 의회도 싫어하는 것 같다”고 물었더니 돌아온 답이 걸작이다. “싫어하는 세 가지는 맞는데 순서가 틀렸다. 의회·이란·북한 순이다.”

 물론 반쯤은 농담이다. 하지만 반쯤은 사실이기도 하다. 신기한 건 욕먹는 사실을 이렇게 잘 아는 의원들이 자발적으로 그만두는 경우는 거의 없다는 사실이다. 임기 2년의 미 하원엔 20선 의원이 수두룩하다. 14~15선은 돼야 상임위원장이 된다. 대부분 살아남는 방법에 훤하고 실제로 치열하게 표밭을 누비는 진정한 프로들이다. 인터뷰 당시 10선 안팎이던 로이스, 엥겔 두 의원도 선수를 높여 지금은 각각 하원 외교위원장과 외교위 민주당 간사 자리에 올랐다.

 욕먹는 정도나 버티는 욕심만으론 미 의회를 뺨치는 곳이 여의도 정치판이다. 국내 주요 기관에 대한 신뢰도 조사에서 국회는 언제나 압도적 꼴찌다. 우간다 정치인보다 신뢰를 못 받는 게 우리 의원님들이다. 그런데도 망신살이 뻗치거나 낙천·낙선으로 떠밀리지 않는 한 자기 발론 안 나간다.

 여기까진 미국 정치와 다를 바 없다. 다른 점은 우리 선량들은 아마추어가 너무 많다는 거다. 미국의 현역 의원 교체율은 10%도 안 되지만 우리 국회는 초선 의원 비중이 늘 과반 수준이다. 표결이건 출마건 위에서 결정이 내려오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정치권의 진입 장벽이 그다지 높지 않아 적당한 경력에 당 지도부와 잘 친해 놓으면 공천장을 거머쥐고, 또 많은 지역에서 ‘공천=당선’으로 통한다. 양산되는 아마추어 정치인도 고생이고 정치도 고생인 딱한 국회다.

 코앞에 닥친 20대 총선도 비슷한 모양새다. 오히려 출발선이 조금은 더 뒤쪽이다. 바꾸자는 열기는 큰데 거론되거나 덤비는 새 피의 양극화가 심해져서다.

 예비후보자 10명 중 대략 4명이 전과자란 통계가 나왔다. 전과 10범도 있고 살인 미수범도 있다. 4년 전에 비하면 3배가량 늘었다. 당선되면 고위공직자를 검증하는 인사청문위원이 될 사람들이니 부끄러운 수치다.

 반대쪽은 세계 1등의 황제들이다. 바둑의 전설 조훈현과 히말라야 주인공 엄홍길, 피겨의 여왕 김연아와 축구 스타 차범근까지 등장했다. 이들을 새 피로 떠올린 발상법은 한국 정치답다. 되는 것도 없지만 안 되는 것도 없는 게 한국 정치이니 그렇다. 하지만 문제는 현실화됐을 경우다. 바둑밖에 모른다는 조훈현이고 산밖에 모른다는 엄홍길이다. 이들 영웅에게 한국 정치를 확 바꿔 달라고 주문하는 건 아닐 게다. 그저 인기를 잠시 빌려 총선에 도움을 받자는 걸 텐데 그래도 되는 건진 모르겠다.

 이종격투기 선수 중 최초로 메이저 챔피언 벨트를 맨 벤 핸더슨이나 수퍼보울에서 MVP를 차지한 미식축구 선수 하인즈 워드는 두 사람 모두 한국인 어머니를 둔 미국인이다. 미국 민주주의를 수입하자고 이들에게 공천장을 주는 것과 크게 다를 바 없는 일 아닌가.

 정치의 계절이다. 누군가는 정치를 해야 한다. 세계 1등이 나서 3류 정치를 1류 정치로 바꿨으면 물론 좋겠다. 하지만 정치는 얼굴로 하는 게 아니다. 그럴 수 있는 건 1류 정치인이다. 없다면 이제라도 길러내야 한다. 문제 의원보다 더 큰 문제인 우리의 의원 선발 시스템을 수술하는 게 출발선이다. 내부에서 1류 정치인을 키우는 선진국 정당에서도 배워야 한다. 그래야 모든 길이 국회로 통하는 구조에서 벗어날 수 있다.

최상연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