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폐쇄, "'전면 중단' 중소기업 쪽 피해 클 것"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기사 이미지

홍용표 통일부 장관이 10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브리핑룸에서 `개성공단 전면 중단에 따른 정부 성명`을 발표 후 브리핑 룸을 나서고 있다. 김경빈 기자

정부의 개성공단 가동 중단 조치가 국내 금융시장에 충격파를 남겼다. 설 연휴기간 쌓였던 대외 악재도 증시에 충격을 더했다. 정부는 개성공단 입주 기업 피해와 금융시장 충격 확산을 막는데 분주하다.

11일 오전 9시 코스피는 2.35% 급락해 출발했다. 설 연휴 전인 5일 종가(1917.79)보다 45.11포인트 하락한 1872.68로 개장했다. 주식시장이 문을 열자마자 코스피는 1900선 아래로 미끄러졌다. 오전 10시15분 현재 1869.33으로 1900선을 회복하긴커녕 낙폭(-2.53%)만 더 커졌다. 설 연휴 누적된 미·일·중 대외 악재에 개성공단 가동 중단 조치가 더해지며 금융시장 파장을 키웠다. 10일(현지시간)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국제 금융시장을 안정시키려 한 “Fed가 금리 인상 속도를 늦출 수 있다”는 발언도 통하지 않았다.

핵ㆍ미사일 실험이라는 북한 내부 위험 요인보다는 개성공단 가동 중단 같은 제재 조치가 금융시장 내 리스크 확산으로 이어졌던 사례는 전에도 있다. 2013년 4월 2일 1986.15였던 코스피는 3일 북한이 개성공단 잠정 폐쇄 조치에 나서고 불과 2주일여 만인 18일 1900.06까지 밀렸던 전례가 있다. 그해 2월 북한은 3차 핵 실험을 했다. 그에 따른 4월 한ㆍ미 군사훈련을 이유로 북한은 161일 동안 개성공단 폐쇄했다.

전문가는 2013년 개성공단 사태 때보다 이번 파장이 더 클 것으로 예상한다. 당시 북측은 ‘잠정 중단’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지만 이번에 남한은 ‘전면 중단’이라는 단어를 썼다. 조봉현 IBK경제연구소 연구원은 “개성공단 내 입주 기업은 121개이지만 연결된 기업을 포함해 중소기업 쪽 피해가 클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신발은 부산, 섬유는 대구, 기계는 인천과 연관돼 경제 영향이 다른 지역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정부도 대응책 마련에 분주하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오전 이찬우 기재부 차관보 주재로 시장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이 차관보는 “유가 하락과 주요국 환율 변동성 확대 등 국제 금융시장 불안 요인이 상존하고 있는 만큼 정부는 국내외 금융·외환·실물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겠다”며 “상황이 안정될 때까지 당분간 매일 시장상황점검회의 개최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또 이날 오후 이석준 국무조정실장이 주재하는 개성공단 가동 중단에 따른 입주기업 지원 대책회의를 연다. 기재부·산업통상자원부ㆍ금융위원회 등 관련 부처 차관급이 참여한다. 피해 보상 범위와 구체적인 재정 지원 방안이 회의에서 나올 예정이다.

온라인 중앙일보

개성공단 폐쇄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