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토요 정담(政談)] 박근혜 대표 2년간, 열린우리당은 대표 7번 바꿨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대표직을 사퇴한 날(27일) 문재인 의원이 금화 모양의 초콜릿을 들고 환하게 웃는 사진이 인터넷에서 화제가 됐습니다.

16년간 ‘더민주’ 대표 34번 교체
평균 5.6개월…한명숙 석달도 안 돼
“계파 내 동지애가 더 두드러져
다른 쪽이 당권 잡으면 흔들기”

문 의원은 홀가분해 보였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문 의원 스스로 재임기간은 “영일(寧日)이 없는 힘든 날들의 연속이었다”고 썼을 정도니까요. 문 의원의 재임기간은 354일이었습니다.

여기서 문제를 하나 내겠습니다. 문 의원은 2000년 이후 더민주 계열 정당에서 몇 번째로 오래 대표를 했을까요? 임기를 다 채우지 못한 문 의원이지만 2000년 이후 자료를 추려 보니 그래도 네 번째로 장수한 대표였습니다.

기사 이미지

 가장 오랫동안 대표직을 지낸 사람은 누굴까요? 정세균 의원입니다. 정 의원은 2008년 7월부터 2012년 8월까지 2년1개월을 당 대표로 지냈습니다.

정 의원에게 비법을 물어봤더니 “재·보선 등 선거에서 계속 이겼기 때문에 당 내부에서 아무리 흔들더라도 버틸 수 있었다”고 합니다. 정 의원처럼 2년 동안 대표직을 유지한 야당 대표는 2000년 이후 없었습니다.

 새천년민주당부터 더불어민주당까지의 16년 동안 당 대표가 34번이 바뀌었으니 그럴 만도 합니다. 더민주 계열 정당에서 대표직을 지킨 기간은 평균 5.6개월입니다. 반년도 안 돼 대표가 계속 바뀌었던 겁니다.

 정 의원 말대로 선거 패배로 인한 교체가 많았습니다.

‘선거의 여왕’이라는 박근혜 대통령이 한나라당 대표를 지내던 시절(2004년 3월~2006년 6월)에만 당시 여당이었던 열린우리당 대표가 7번 바뀌었습니다. 당시 대표직을 가장 오래 지낸 문희상 의원(6개월)은 “2~3개월 단위로 대표가 바뀐 혼란기였다”고 회고했습니다.

기사 이미지

 당 대표를 지내면서 상처를 입은 대표도 많습니다.

문재인 의원도 “제가 겪었던 참담한 일들이 또다시 되풀이돼서는 안 된다”고 했습니다. 박영선 의원은 2014년 8월 비대위원장이 된 지 한 달 만에 기자회견도 없이 e메일로 사퇴를 합니다.

▶관련 기사 문재인 "제가 겪은 참담한 일 되풀이돼선 안돼"

당시 사퇴의 변에 “배의 평형수라도 빼버릴 것 같은 (강경한) 움직임과 극단적 주장이 요동했다”고 썼습니다. 아직도 박 의원은 술자리에서 당시 일을 이야기할 때면 눈물이 그렁그렁하다고 합니다.

박 의원에 이어 비대위원장 역할을 맡은 문희상 의원은 “당시에는 예수, 공자, 세종대왕, 김대중 전 대통령이 당 대표를 맡아도 버티지 못할 정도였다”고 합니다.

 2004년 열린우리당 의장을 지낸 이부영 전 의원도 ‘흔들기’에 지쳐 대표직을 내려놓았습니다.

이 전 의원은 국가보안법 폐지를 놓고 당내 강경파와 갈등을 벌였습니다. 이 전 의원과 천정배 당시 원내대표는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와 김덕룡 원내대표와 교섭을 통해 보안법을 폐지하는 대신 고무·찬양 등의 독소조항을 없애는 걸로 합의합니다.

그런데 합의 후 열린 의원총회에서 이 전 의원은 “배신자” “한나라당에 당을 팔았다”는 막말을 들었다고 합니다. 그는 “저런 사람들 하고 정치를 못하겠다는 생각에 대표직을 내려놓았다”고 회고했습니다.

 당 대표 수명이 짧은 게 더민주만의 일일까요. 새누리당도 비슷하지만 정도는 더민주보다 덜합니다. 2000년 이후 새누리당에서 당 대표는 18번 바뀌었고 평균 재임 기간도 11.7개월입니다. 야당 대표 임기가 ‘잔혹사’라면 여당은 ‘수난사’ 정도인 셈이죠.

2년 임기를 제대로 마친 대표도 이회창 총재를 제외하더라도 박 대통령(2년3개월), 강재섭 전 의원, 황우여 의원 등 3명입니다.

 새누리당보다 대표 수명이 짧은 이유를 더민주 전병헌 의원은 “계파 내부의 동지애는 있지만 당 차원의 동지애는 희미해져 있어 다른 계파가 당권을 잡으면 흔들어댄 결과”라고 진단합니다.

문희상 의원도 “우리는 목숨 걸고 당권 경쟁에 달려든다”고 했습니다. 정한울 평화와민주주의연구소 교수는 “각 계파가 자신들이 유리하게 당 대표 선출 방식을 계속 바꿔서 신뢰가 생기지 않는 것”이라며 “공정한 룰부터 세우라”고 조언했습니다.

안효성 기자 hyoz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