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biz&issue]치매 파트너즈 16만 명 활약…환자 가족의 걱정 크게 덜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3면

기사 이미지

보건복지부는 제3차 치매관리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촘촘한 치매 관리·지원 체계를 마련하고 인프라를 확충할 방침이다. 사진은 서울 서남병원에서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미술치료를 하는 장면. [중앙포토]

보건복지부가 다시 한번 치매와의 싸움에 쏟는 전력을 재정비하고 강화한다. 보건복지부는 ‘제3차 치매관리종합계획’(2016~ 2020)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치매환자와 가족이 편안하고 안전하게 살아갈 수 있는 지역사회 구현’을 비전으로 치매환자 돌봄경로에 따라 촘촘한 치매관리 지원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광역치매센터를 확충하고 공립요양병원의 기능 보강을 지원하는 등 치매 인프라 확충에도 힘을 쏟을 예정이다. ▶지역사회 중심의 치매 중증도별 치매 치료·돌봄 ▶치매환자의 권리·안전 보호와 가족 부담 경감 중심의 지원체계 마련이 이번 계획의 핵심 목표다.

보건복지부 치매와의 싸움

정부는 지난 2008년 9월 제1회 치매극복의 날이자 제14회 세계치매의 날을 앞두고 치매와의 싸움을 선포했다. 국가가 나서 치매 노인을 종합적·체계적으로 관리하겠다고 밝히고 치매종합대책을 발표했다. 또 치매관리법이 2011년 8월 제정돼 이듬해 2월부터 시행됐다.

제3차 치매관리종합계획 발표

광역센터 확충, 공립병원 보강

환자 보호, 가족 부담 경감 중심

이 같은 노력은 많은 성과를 낳았다. 우선 치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개선되고 치매 예방과 조기 발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다. 치매 진료 인원이 2008년 약 18만명에서 지난해 44만명으로 늘어났다. 치매환자에 대한 봉사를 실천하는 치매 파트너즈 16만명이 양성됐다. 보건소 치매 조기 검진 실적도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 143만건에서 올해는 157만건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노인돌봄기본서비스와 노인장기요양서비스를 통해 치매환자 돌봄·요양이 제공되고 있으며, 치매상담콜센터(1899-9988)도 운영하고 있다.

이런 성과에도 불구하고 치매의 효과적인 치료·관리나 치매환자 가족의 부담 경감 등에서는 부족한 부분이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제3차 치매관리종합계획에는 이런 부분이 반영됐다.

기사 이미지

보건복지부는 제3차 종합계획에 따라 ▶지역사회 중심 치매 예방 및 관리 ▶편안하고 안전한 치매환자 진단·치료·돌봄 ▶ 치매환자 가족의 부양 부담 경감 ▶연구·통계 및 기술을 통한 지원 등 4개 분야의 10개 영역에서 38개 과제를 추진한다.

우선 치매 예방 및 인식 개선을 위해 치매안심마을을 인증하고, 치매노인이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는 치매 친화적 지역사회를 구현해 나간다. 성별·연령·생활습관병 등 기본정보와 금연·금주·운동 같은 치매 예방 실천 여부를 점수화한 치매예방실천지수를 개발·보급한다. 치매에 대해 부정적인 법령도 정비해 나갈 예정이다. 치매 고위험군에 대한 집중관리가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도 강화한다. 우편·전화 등을 통해 치매 예방수칙·운동법과 인지훈련 프로그램을 주기적으로 송부하고, 보건소 건강관리 및 인지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유도한다. 또 보건소 치매상담센터 및 방문간호 등을 통해 찾아가는 조기 검진을 실시해 나간다.

지역사회 중심의 치매치료체계도 보완한다. 의사가 장시간 상담하도록 유도하기 위해 신경과·정신건강의학과 등 전문의의 치매가족 상담에 보험수가를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또 배회·망상·폭력성 등 치매의 행동심리증상을 관리할 수 있는 공립요양병원 치매전문병동 운영모델을 개발할 계획이다.

또 치매환자의 특성에 맞춘 돌봄·요양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요양시설 치매전담실을 설치하는 등 치매환자 맞춤형 돌봄이 이뤄지도록 할 방침이다. 24시간 방문형 요양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중증치매 돌봄 서비스의 전문성도 제고한다. 치매환자의 권리 보호를 위해 공공후견제도의 도입도 검토할 계획이다.

김승수 객원기자 kim.seungso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