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IS, ‘13일의 금요일’ 택한 이유 있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6곳에서 동시다발적인 테러를 자행한 극단주의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가 ‘13일의 금요일’을 택일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13일의 금요일은 올들어 2월, 3월 그리고 11월 세 번밖에 없다. 13일의 금요일에 맞춰 주말 휴일을 앞두고 긴장이 풀어진 금요일 밤, 일반 시민을 노려 공포감을 극대화하려는 의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3년 전인 2012년 11월 13일은 IS와 적대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시리아 반정부 단체 연합인 ‘시리아국가연합’(SNC)을 합법적인 정부로 인정한 날이다. 당시 프랑수아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은 시리아 반군을 시리아를 대표하는 과도 정부로 공식 인정했다. 이로써 프랑스는 서방 국가 중 처음으로 시리아 반군을 정부로 인정한 국가가 됐다.

이번 테러 현장에 있었던 피해자들의 증언에 따르면 용의자들은 “프랑스의 시리아 정책”을 수차례 언급하면서 총을 쐈다고 한다. IS가 프랑스의 시리아 반군 지원 정책에 대해 불만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번 테러 대상으로 프랑스를 꼽았다는 추정이 나온다. 프랑스는 지난해에는 이라크에서, 그리고 지난 9월부터는 시리아에서도 IS 공습에 참여했다.

이달 말 프랑스에서 열릴 예정인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에도 영향을 미치려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프랑스는 195개국이 참여하는 총회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할 예정이었다. 테러가 발생한 직후 올랑드 대통령은 G20 회의 참석을 취소하는 등 프랑스 국내에 위기 상황을 불러왔다.

하선영 기자 dynamic@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