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부 "왜곡 사실 언론에 흘리는 日 행태, 스스로 신뢰 훼손" 강력 항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정부가 한·일 정상회담과 관련한 일본 언론의 왜곡보도에 대해 일 측에 강력히 항의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11일 기자들과 만나 “오늘 오전 외교부에서 열린 10차 위안부 피해 문제 해결을 위한 한·일 국장급 협의에서 이상덕 동북아국장이 이시카네 기미히로(石兼公博)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에게 일본에서 정상회담 직후부터 연이어 부정확하고 왜곡된 보도가 나오는 데 대해 강한 유감의 뜻을 전달했다”고 말했다. 이 국장은 “이런 식으로 정상 간 대화 내용을, 그것도 사실과 거리가 멀게 왜곡해서 언론에 흘리는 고질적인 행태는 일본에 대한 신뢰를 스스로 훼손하고 국제사회에 일본 외교의 민낯을 그대로 드러내는 것”이라는 취지의 지적을 했다고 한다. 이 당국자는 “이에 대해 이시카네 국장은 특별한 대답을 하지 않았다. 할 수가 없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협의와 관련, 당국자는 “10차 협의를 해오는 동안에 상호 간에 협의를 통해 인식 차를 좁히기 위한 노력을 계속해 왔고, 지금도 계속중에 있다고 말씀드릴 수 있다. 겉에서 보기엔 안 움직이는 것처럼 보일 수 있겠지만, 조금씩조금씩 목표를 향해 움직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한·일 정상이 2일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논의를 가속화하기로 합의한 뒤 9일만에 국장급 협의가 열린 것이니 그 자체로 의미가 있다”고도 했다.

협의에서는 일본 정부의 법적 책임 인정을 두고 여전한 입장 차를 확인했다고 한다. 한국 측은 위안부 피해는 반인도적 불법행위이기 때문에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으로 해결된 것이 아니란 입장을 다시 강조했다. 박근혜 대통령도 2일 정상회담에서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에게 같은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일본 측은 위안부 문제는 65년 협정으로 끝났고, 피해자 개인의 배상청구권도 소멸했다는 입장이다.

이 국장과 이시카네 국장은 2시간 동안의 협의 대부분 시간을 위안부 문제에 할애했으나, 일본산 수산물 수입규제 문제 등 다른 현안도 일부 논의했다고 한다. 일본 측은 평화의 소녀상 문제를 제기했다. 외교부 관계자는 “명시적인 철거 요청은 아니고, 대사관 앞에 있다니 불편하다는 취지의 언급이 있었다. 우리 측은 이는 민간에서 자발적으로 설치한 것으로 정부가 관여할 수 없는 일이고, 위안부 문제가 잘 해결됐으면 이런 일이 있었겠느냐고 답했다”고 전했다.

일본 언론들이 아시아여성기금의 연장선상에서 일본 정부가 재정적 조치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제의할 것이라고 보도한 데 대해 이 관계자는 “오늘 그런 이야기는 없었다”고 말했다. 특히 아시아여성기금은 사실상 실패로 돌아간 뒤에도 피해자들에게 인도적 지원을 계속하겠다고 밝혀온 만큼 지금 시점에서 이것이 새로운 해결방안인 것처럼 부각되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고 정부는 보고 있다고 한다.

유지혜 기자 wisepe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