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한과·옹기·각궁…우리 시대 명인을 찾아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11월은 여행 비수기다. 단풍은 서서히 시들고, 야외활동을 하기에는 춥다. 한 달만 있으면 송년의 열기로 가는 곳마다 북적대지만 11월은 어딘가 저물어가는 계절의 느낌이 강하다. 하여 이럴 때는 차분하게 문화 체험을 하는 게 제격이다.

한국관광공사 추천 11월 가볼만한 곳

때마침 한국관광공사가 ‘전통 문화 탐방 - 장인을 찾아서’라는 주제로 11월에 가볼 만한 곳을 추천했다. 우리 전통문화를 꿋꿋하게 지켜가고 있는 장인을 만나고 지역의 소문난 맛집, 멋집도 들러보자.

절제와 느림의 미학, 조선 가곡(歌曲)

조순자 명인이 제자들과 함께하는 가곡 공연을 하는 모습.

기사 이미지

가곡(중요무형문화재 제 30호)은 45자 내외의 시조를 국악 관현악 반주에 맞춰 10여 분 동안 노래하는 성악곡이다. 조선시대 선비 가객이 불렀던 가장 예술성 뛰어난 장르다. 2010년에는 유네스코 인류 무형 문화유산에 등재됐다. 경남 창원에 가면 가곡전수관이 있다. 평생 가곡 전승과 보급에 힘써온 조순자 명인이 2006년 설립했다. 국악 꿈나무 육성 등 다양한 활동을 한다. 매달 마지막 주 목요일 저녁에 가곡, 기악 독주와 합주, 창작극 등 국악 공연이 펼쳐진다. 창원 상상길, 창동예술촌 등을 함께 여행하면 좋다. 창동복희집과 고려당은 지역민의 추억과 향수를 달래주는 맛집이다. 옛 마산의 술 문화를 엿볼 수 있는 오동동 통술골목과 마산어시장이 창동과 가깝다. 보양 온천 마금산원탕도 들러봐. 경남 창원시, 055-221-0109.

4대째 이어온 방짜수저의 가업

공방 앞에 선 김우찬 전수조교.

기사 이미지

강릉시 입암동에 작업실을 둔 김우찬 전수조교는 방짜수저를 만드는 젊은 장인이다. 16세 때 아버지에게 방짜수저 만드는 일을 배운 뒤 지금까지 가업을 잇는다. 쇳덩이를 두드리고 펴서 만드는 방짜수저는 모든 과정이 수작업인데, 40여 가지 도구로 사흘 동안 두드리고 깎아야 수저 한 벌이 나온다. 매화와 연꽃, 대나무를 새긴 방짜수저가 감탄을 자아낸다. 강릉 간 김에 오죽헌과 선교장 그리고 안목해변 커피거리에서 늦가을의 정취를 만끽해도 좋다. 율곡이 태어난 오죽헌, 한옥의 멋을 고스란히 간직한 선교장은 가을 운치로 가득하다. 안목해변 커피거리도 가을 강릉 여행에서 빼놓을 수 없다. 아이와 함께라면 다양한 전통 공예 체험을 할 수 있는 강릉예술창작인촌도 들러 볼 만하다. 강원도 강릉, 033-640-5420.

한과에 불어놓은 예술혼

색과 모양이 고운 전통 한과.

기사 이미지

한과는 우리네 전통 과자다. 유과, 약과, 정과, 다식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김규흔 명장은 국가 지정 전통 한과 제조 기능 명인이자, 대한민국 한과명장 1호(약과 분야)다. 한마디로 한과 만들기에 평생을 바친 장인이다. 그는 천편일률적이던 한과 모양에 변화를 줬다. 연꽃 모양, 마름모꼴 등 새로운 약과를 개발했으며, 한과가 세계로 뻗어갈 수 있도록 한과문화박물관을 열었다. 한과 제작 과정과 제작 도구 전시는 물론, 한과 만들기 체험도 할 수 있다. 박물관에서 산정호수가 가깝다. 둘레길을 걸으며 붉은 단풍이 가득 담긴 호수의 정치를 느낄 수 있다. 달콤한 허브 향 가득한 허브아일랜드도 들러보자. 국립수목원 인근 더파크아프리카뮤지엄에서 아프리카 문화를 관람하고, 아프리카 전통 민속춤도 관람할 수 있다. 경기도 포천, 031-533-8121.

4대째 가업 잇는 옹기 명가

초벌구이를 기다리는 옹기들.

기사 이미지

옹기는 장을 발효하고, 김치 맛을 오래 유지시키며, 곡식을 상하지 않게 저장하고, 음식이 잘 식지 않는 ‘살아 있는 그릇’이다. 황충길 명장은 3대째 전통 기법 그대로 옹기를 빚고 있다. 아들이 20년 가까이 함께하고 있으니 4대, 160년에 이르는 장수 가업이다. 1990년대 들어 옹기를 찾는 사람이 줄면서 문 닫는 옹기점이 많았으나, 냉장고용 김칫독을 발명해 위기를 기회로 삼았다. 천연 재료를 숙성시킨 잿물로 구운 황 명장의 옹기가 가을 햇살에 따사로이 빛나고 있다. 예산에는 가을에 가볼 만한 곳이 많다. 천연기념물 제 199호 황새를 가까이 관찰할 수 있는 예산 황새공원, 서예의 대가 추사 김정희가 태어나고 자란 김정희 고택, 천년고찰의 멋과 위엄을 갖춘 수덕사, 한옥에서 운치 있는 하룻밤을 보내는 교촌한옥문화체험관 등이있다. 충남 예산, 041-332-9888.

중국에서도 인정한 옥 공예 대가

장주원 장인의 작품들을 전시한 옥공예전시관.

기사 이미지

 중요무형문화재 제 100호 장주원 옥장은 옥 공예의 종주국이라 하는 중국에서도 인정한 대가다. 목포 옥공예전시관에는 장주원 옥장이 오랜 세월 정성을 다해 만든 수많은 작품이 전시돼 있다. 수십 년 간 옥과 함께해온 장인의 고집스런 인생이 엿보인다. 전시관 위 판매관에서 다양한 옥 장신구도 판다. 목포에는 문화를 즐겨야 한다. 목포를 대표하는 문인 4인(박화성·김우진·김현·차범석)을 집중 조명한 목포문학관에 들러보자. 목포 갓바위 문화타운 끝자락에는 마치 머리에 큰 갓을 쓴 것처럼 보이는 갓바위가 있다. 가족 나들이 코스라면 입암산둘레길이 좋다. 한 바퀴 도는 데 약 2시간(3.5㎞) 걸린다. 목포5미(味) 가운데 하나인 세발낙지는 연포탕으로 먹어야 제맛이다. 홍어삼합도 빠뜨릴 수 없다. 전남 목포, 061-270-8432.

300년 째 이어온 가업 ‘각궁’

권무석 장인은 각궁을 만드는 장인이자 국궁 사범이기도 하다.

기사 이미지

서울시 무형문화재 제 23호 궁장 권무석 선생 집안은 약 300년 전 조선 숙종 때부터 경북 예천에서 각궁을 만들었다. 권무석 궁장은 12대, 아들 오정 씨는 13대째다. 권무석 궁장은 어릴 때부터 자연스레 각궁 만드는 일을 했다. 하지만 16세 때 집을 나가 우체국 공무원, 버스 기사로 살았다. “활의 대가 끊겼다”는 형 영호 씨의 말을 듣고 37세에 다시 활을 잡았다. 권무석 궁장은 활 문화 전반에 관심과 애정이 깊어, 각궁을 만드는 데 그치지 않았다. 전통 활쏘기 기능 보유자 고 장석후 장인에게 전통 사법을 배웠고, 『국궁의 교범』이라는 책도 썼다. 1994년 국궁문화대축제를 기획했으며, 육군사관학교와 경찰대학에서 궁도를 가르쳤다. 서울 종로구, 02-741-1303.

정리=최승표 기자
사진=한국관광공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