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안전위원회, 부실 부품으로 논란 빚은 신고리 3호기 가동 승인

중앙일보

입력

 부실 부품 논란 등으로 가동 승인을 받지 못했던 신고리 원자력발전소 3호기가 29일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로부터 운영 허가를 받았다. 원안위는 “안정성 평가에 대한 상세한 계획을 보고한다는 조건으로 운영을 허가했다”고 밝혔다.

국내 기술로 개발된 최초 원전이자 공사비만 6조 넘게 투입된 신고리 3호기는 가동 승인에 앞두고 우여곡절을 겪었다.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자연재해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가 변경돼 2년 넘게 준공이 지연됐다.

지난해 준공을 앞두곤 납품업체의 케이블 시험성적서 위조가 확인되면서 논란이 됐다. 이후 가스 누출 사고에 따른 작업자 사망 사고로 허가 절차가 미뤄졌다.

신고리 3호기는 한국이 2009년 아랍에미리트(UAE)에 수출한 원전과 동일한 모델이다. 수출 당시 안전을 입증하기 위해 올해 10월부터 가동키로 약속했으나 지연됐다. 원전은 내년 4~5월부터 본격 가동한다. 이번 결정은 건설 중인 신고리 4호기 운영허가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원전 반대 단체들은 즉각 반대 의견을 밝혔다. 반핵부산시민대책위원회와 탈핵울산시민공동행동는 이날 신고리 원자력본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8개월 전 수명이 끝난 월성 1호기 재가동을 결정한 원안위가 신고리 3호기를 허가해 신고리 원전 주변을 세계 최대 핵발소 단지로 만들었다”며 “신고리 3호기 가동 승인을 취소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신고리 5ㆍ6호기 추가 건설도 계획하고 있어 원전을 둘러싼 논란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강기헌 기자 emck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