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명문대 졸업생 사회복지사 외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1면

지난 4월 처음으로 실시된 사회복지사 1급 국가자격증 시험에 상위권 대학 출신자들은 별로 응시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보건복지부가 집계한 응시현황에 따르면 총 응시자 6천여명 중 서울대 출신은 한 명도 없었다. 연세대 출신은 3명(올해 졸업자는 58명), 이화여대는 6명(졸업자 45명), 성균관대는 9명 등이었다.

서울대의 올해 졸업생 12명 중 세명은 대학원에 진학했고 세 명은 고시를 준비하느라 응시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나머지 6명은 1999년 이전 입학자로서 시험을 안치고 1급 자격증을 받았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상위권대 졸업생의 응시율이 낮은 이유는 사회복지사의 대우가 열악하다 보니 다른 일자리를 찾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사회복지시설에 근무하는 복지사들의 지난해 평균 초봉(대졸 남자 기준)은 연 1천5백여만원이다.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이철수 사무총장은 "상위권 대학 출신자들이 사회복지 연관 분야 진출을 기피하고 고시를 보고 공무원이 되거나 대기업 등으로 진출하는 경우가 많아 굳이 1급 자격증을 딸 필요가 없다"고 설명했다. 李총장은 "실제 서울대 출신이 사회복지 관련 업무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그리 많지 않다"고 덧붙였다.

서울대 사회복지학과 조흥식 교수는 "99년 1급 자격증 제도가 바뀐 이후 올해가 처음이어서 응시자가 적은 것이지 1급 자격증을 따지 않으려는 것은 아닌 것 같다"면서 "내년부터 응시자가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사회복지사 자격증은 1~3급이 있다. 98년 입학자까지는 4년제 대학의 사회복지학과를 졸업하거나 사회복지 관련 14과목을 이수하면 1급 자격증이 나왔다.

올해부터 국가시험을 신설해 4년제 대학 졸업자라도 시험에 붙어야 1급을 딸 수 있게 됐다. 1급 자격증 요건을 강화하자는 사회복지계의 요청을 받아들인 것이다. 시험을 안치면 2급 자격증을 받는다.

1급 자격증을 까다롭게 하면서도 혜택면에서 2급 자격증과 차이를 안두다 보니 상위권 대학 출신의 응시율이 낮은 측면도 있다.

◆사회복지사란=요양원.장애인 생활시설.노인시설 등 사회복지시설(9백24개)에서 상담.재활훈련.수발 등의 일을 담당한다. 국가에서 사회복지사의 인건비나 시설 개.보수비를 지원한다. 올해 3천6백90억원이 지원된다.

초과.야간.휴일근무 수당이 제대로 지급되지 않는 등 근무여건이 열악하다. 서울과 경인지역 등 일부에서 노동조합을 결성해 근로조건 개선에 주력하고 있다. 사회복지시설 외 읍.면.동이나 병원에서 근무하기도 한다.

신성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