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F' 北·中 '核 마음' 떠볼 기회

중앙일보

입력

17-19일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열리는 3개 외무장관회의 즉,한·중·일,동남아국가연합(아세안)+한·중·일,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외무장관 회의는 우리 정부가 미·일 양국을 넘어 다자무대에서 북핵 문제를 논의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들 회의체는 역내 협력과 예방 외교를 주로 다루지만 정부로선 당면 현안인 북핵의 평화적 해결 기반을 다지는 장(場)으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한·중·일 외무장관 회의는 북핵 문제 해결과 관련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한·미·일 3국이 12-13일의 대북정책조정감독그룹(TCOG)회의에서 합의한 ‘확대 다자회의’ 등을 중국에 설명하기 때문이다.중국은 지난 4월의 북·미·중 3자회의를 끌어내는 산파역을 맡았고,확대 다자회의 성사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ARF도 어떤 식으로든 북핵 문제를 다룰 것으로 예상된다.아·태 지역 유일의 안보대화체로서 지역의 안정과 평화를 위협하는 북핵 문제를 외면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다만 ARF외무장관 회담후 나올 의장 성명은 이달초의 주요국(G8)보다는 북핵 경고에 대한 강도가 낮을 수밖에 없다.북한이 ARF 회원국인데다 성명은 어느 한 나라라도 반대하면 완성되지 않기 때문이다.

외교통상부 관계자는 “북한이 참석하기 때문에 다른 회의에 비해 (북핵에 대한) 톤이 높을 수 없다”며 “의장 성명도 23개 참가국의 합의가 이뤄져야 하는데 북한이 수용하기 힘든 내용을 넣기 어렵다”고 말했다.

따라서 의장 성명은 ▶한반도 비핵화 문제를 논의했으며 ▶이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지지하고 ▶남북간 교류 협력이 중요하다는 선에서 절충될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지난해 ARF 외무장관회의때 백남순 외무상이 참가해 콜린 파월 미 국무장관과 즉석 회동을 하고 일본 외상과 회담하는 등 활발한 외교를 펼쳤다.그러나 이번에는 허종 본부 대사를 파견할 예정이고,미국도 북한과의 양자대화는 하지 않는다는 방침이어서 북미간 접촉이 이뤄질 가능성은 작다.남북간 접촉도 마찬가지다.그러나 이번 ARF는 한·미·일 3국이 북핵 문제에 대한 조율을 끝낸 뒤에 열리는 만큼 북한의 반응을 엿볼 수 있는 좋은 기회도 될 것으로 보인다.

◇ARF(ASEAN Regional Forum: 아세안지역안보포럼)=1993년 창설돼 올해 10주년을 맞는 안보대화체.아세안 소속 10개국과 한·미·일·중,EU의장국 등 대화상대 10개국,북한 등 기타 3개국이 참가하고 있다.의장국은 아세안 의장국(올해 캄보디아)이 겸한다.
강찬호 기자stoncold@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