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사설

여야, 공천혁신 함께 논의해보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4면

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가 새로운 국회의원 선거 공천제도를 내놓았다. 새누리당 지지자를 제외한 지역구 유권자 중에서 당원 여부와 상관 없이 공천단 활동을 수락하는 이들로 300∼1000명의 공천선거인단을 구성한다는 것이다. 지역구 중에서 20%는 외부인사들이 참여하는 위원회에서 공천을 정하는 전략공천제도도 운영된다. 새누리당은 완전국민경선제를 추진 중이며 무산될 경우에 대비해 당원+여론조사 경선 같은 대안을 검토하고 있다.

 공정하고 효율적인 공천은 정치개혁의 핵심이다. 새정치연합의 공천안에 대해선 몇 가지 의문이 제기된다. 우선 당원 여부를 가리지 않는다고는 하나 특정 정당의 공천활동을 수락할 사람 중에는 아무래도 당원이 다수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면 현역의원에게 유리하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정치신인에게 10% 가산점을 준다고 하는데 모호한 점이 있다. 어떤 유명인사들은 현역 못지않게 지명도가 뛰어나다. 이들이 신인이라는 이유만으로 가산점을 받으면 이는 공정한가. 여성에게 25% 가산점을 준다고 하는데 그들은 이미 비례대표를 통해 상당한 배려를 받는다. 이런 식의 편의적인 가산점 제도는 정치선진국에는 없다. 어떤 지역이 경선에서 제외되고 전략공천 대상이 되어야 하는지 유권자가 납득할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새정치연합의 제도는 준(準) 국민경선제라 할 수 있다. 제기되는 문제들이 쉽게 해결되지 않는다면 차제에 새누리당에서 추진하는 완전국민경선제를 여야가 동시에 실시하는 방안도 검토해볼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 제도도 허점이 많다. 대표적으로 현역에게 유리하다. 그러나 선진국 식의 성숙한 당원경선제가 불가능한 상황에서 어차피 공천혁신은 차선(次善)을 선택하는 게임이 되고 있다. 여야가 별도로 내달릴 게 아니라 공동으로 세미나를 열어 바람직한 개선안을 모색할 수도 있다.

 선거 때마다 공천이 춤을 추는 고질은 이번으로 끝내야 한다. 여야 모두 권력형 공천은 포기하겠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조금만 더 지혜를 모으면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안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