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노동개혁서 금전적 이득 안 취할 것” 노조 동참 압박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경제5단체는 31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의 노동개혁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김영배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 부회장(가운데)은 성명을 통해 “노사 간 힘의 균형을 회복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제도를 개선해 노동시장의 양극화를 해소해야 한다”고 말했다. 왼쪽부터 송재희 중소기업중앙회·이동근 대한상공회의소·김영배 경총·이승철 전국경제인연합회·김정관 한국무역협회 부회장. [강정현 기자]

“노동개혁 과정에서 금전적 이득을 취하지 않겠다. 노동계도 청년 구직자의 바람에 귀를 기울여 달라.”

 노동개혁 협상 테이블에서 그동안 ‘당위성’을 강조해 온 경제계가 ‘순수성’까지 강조하고 나섰다. 지지부진한 노동개혁을 한 발짝 진전시키기 위한 승부수다.

 전국경제인연합회·대한상공회의소·한국경영자총협회·한국무역협회·중소기업중앙회 등 경제5단체는 31일 서울 여의도 중기중앙회 2층 대회의실에서 합동 기자회견을 열었다. 대기업은 물론 대·중소기업과 무역·상공인까지 한목소리로 노동개혁이 절실하다고 촉구할 만큼 상황이 시급하다는 메시지를 던지기 위해서다.

 경제 5단체는 이날“(대기업 등) 경제계는 노동개혁 논의 과정에서 지엽적인 유불리를 따지거나 임금 삭감 등 금전적 이익을 취하려 하지 않을 것을 다짐한다”며 “노동계도 10.3% 노조원의 조직적 이익만 챙기지 말고 비노조 근로자와 미취업 청년들의 바람에 귀를 기울여 달라”고 강조했다.

 이날 경제5단체는 김영배 경총 부회장이 대표로 발표한 성명에서 “직무와 성과 중심으로 임금체계를 개편하거나 임금피크제를 도입하려는 건 임금을 깎거나 기업 비용을 줄이려는 게 아니라 근로 조건을 합리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것”이라고 전제했다.

 이어 “오로지 국가의 미래와 일자리 창출이란 대의만 보고 사명감과 책임감을 갖고 협상에 임할 것”이라며 “투자를 늘리고 채용을 확대해 우리 경제를 재도약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경제5단체는 또 “기업이 지속적으로 좋은 일자리를 만들 수 있도록 불공정하고 경직된 노동 관계법과 제도를 개정해야 한다”며 “제도 개혁은 정부 지침이 아니라 법률 개정을 통해 확실하게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경제계는 특히 노동개혁의 당위성을 강조하고 노동계의 동참을 강력히 촉구했다.

 “현재와 같이 경직된 노동시장에서는 투자와 채용을 확대하는 것이 쉽지 않다”며 “노동계는 현세대와 미래세대 모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을 진지하게 고민하는 자세로 논의에 임해주기를 촉구한다.”고 말했다.

 또 “기업이 이득을 취하지 않으면서 합리적이고 공정한 임금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을 막아서는 안 된다”며 “파업을 통한 노조의 불합리한 요구에 대체 근로를 허용해 노사 간 대등한 협상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자리에는 이승철 전경련 상근부회장, 이동근 대한상의 상근부회장, 김영배 경총 상근부회장, 송재희 중기중앙회 상근부회장, 김정관 무역협회 상근부회장이 참석했다.

김기환·임지수 기자 khkim@joongang.co.kr
사진=강정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