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오픈프라이머리 차선책 찾는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야당은 청년 일자리 창출을 위한 노동개혁에 동참할 것을 부탁한다”고 말했다. 왼쪽은 원유철 원내대표. [김성룡 기자]

새누리당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원(여연)이 김무성 대표가 내년 20대 총선 공천 방식으로 추진 중인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가 도입 안 될 경우에 대비해 대안 모색에 착수했다고 당 핵심관계자가 17일 전했다.

오픈프라이머리는 이미 새누리당 당론으로 채택된 상태지만 현실적인 난관이 커지자 ‘플랜B(차선책)’를 모색하고 나선 상황이다.

 당 핵심 관계자는 이날 “야당이 권역별 비례대표제와 오픈프라이머리의 ‘빅딜’을 제안하면서 두 제도를 연계시키고 있어 도입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는 게 사실”이라며 “여연이 대안이 될 수 있는 상향식 공천제들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오픈프라이머리는 당원이 아닌 유권자들도 당 후보 경선에 참여할 수 있는 후보 선출 방식이다. 이 때문에 민심을 반영해 후보를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특정 정당 지지자가 반대하는 당 경선에 참여해 약체 후보를 택하는 ‘역선택’이 가능하고 ▶조직 선거로 흐를 가능성이 있으며 ▶정치 신인보다 현역 의원들에게 유리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 중 역선택 가능성 때문에 새누리당은 주요 정당들이 같은 날 경선을 실시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지만 새정치연합은 “새누리당이 권역별비례대표제 도입에 찬성해줘야 같은 날 동시선거를 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야당뿐 아니라 다음 총선에서 더 많은 지분을 원하는 친박근혜계도 오픈프라이머리 추진에 부정적이다. 친박계 핵심인 윤상현 의원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김 대표가 추진하는 오픈프라이머리는 이론적으론 가능해도 현실에선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래서 여연이 다른 상향식 공천제들을 대안으로 검토하기 시작했다. 여론조사 비율을 확 늘리는 ‘7대 3 방식’ 또는 ‘8대 2 방식’ 등을 들여다보고 있다고 한다. 여연 관계자는 “당 지도부로선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에 실패할 경우에도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새누리당은 지난 2012년 총선 때까지 상당수 선거구에서 ‘일반 유권자 여론조사’와 ‘당원 투표’의 비율을 50%대 50%로 반영해 후보를 공천해왔다. 이번에는 ‘오픈프라이머리 정신’을 구현하기 위해 일반 유권자 여론조사 비율을 70%나 80%까지 끌어올리는 안 등을 검토 중이란 게 당 관계자의 설명이다.

 물론 김 대표는 최근에도 비공개 당 회의에서 참석자들이 “오픈프라이머리는 물 건너가는 것 아니냐”고 하자 “김 빼지 말라”면서 입장을 바꾸지 않았다고 한다. 하지만 김 대표 주변에서도 “이제 대안을 찾아야 할 때”란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다.

글=남궁욱·김경희 기자 periodista@joongang.co.kr
사진=김성룡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