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유철 "先 경제활성화, 後 증세 논의"…"소득세 인상은 검토 용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새누리당 원유철 원내대표는 2일 야당이 줄기차게 요구하는 ‘법인세 인상’ 문제와 관련해 “‘선(先) 경제활성화, 후(後) 증세 논의”라며 부정적 입장을 드러냈다.

원 원내대표는 이날 MBC-TV ‘시사토크 이슈를 말한다’에 출연해 노동 개혁과 국정원 불법 해킹 의혹, 오픈 프라이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당ㆍ청 관계 등 주요 현안에 대한 의견을 밝히면서 이같이 말했다.

원 원내대표는 특히 “지금은 국회에 계류 중인 경제활성화 법안을 먼저 처리하고 경제활성화를 시켜서 고용 창출, 내수 진작 등의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것이 우리의 임무다. 그러고 나서 증세를 해도 늦지 않다”고 강조했다.

그는 법인세 인상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밝히면서도 개인 소득세와 관련해선 “더 많이 버는 사람에게 더 무겁게 하는 쪽으로 개정을 하느냐”는 사회자 물음에 “그런 논의를 할 것”이라고 답했다. 이어 “법인세(인상)는 좀 부정적이지만 개인 소득세는 좀더 적극적으로 검토를 하겠다는 뜻이냐”는 질문에 “저희는 검토할 용의가 있다”며 긍정적 입장을 드러냈다.

이와 함께 원 원내대표는 최대 현안으로 떠오른 노동시장 개혁과 관련해선 “청년을 고용하는 일자리를 만드는 기업은 대기업이든 중소기업이든 세제상 혜택 등 각종 지원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사회적 대타협 기구’를 설치해 노동 개혁을 논의해야 한다는 야당 주장에 대해선 “노사정위원회가 작년 9월부터 100번 정도 모여 회의를 했다.

기존에 있는 노사정위를 잘 활용하면 좋지 않을까 싶다”며 반대 의사를 분명히 했다. 국가정보원 불법 해킹 의혹에 대해선 “가장 걱정되는 게 계속된 의혹 부풀리기”라며 “지금 제일 좋아하는 게 북한”이라고 말했다.

당ㆍ청 관계에 대한 질문에는 “수직적 관계니, 수평적 관계니 하는 게 의미가 없다. 한몸이다”라며 “당ㆍ청 관계는 여야 관계처럼 견제하고 긴장하는 관계가 아니다. 입법ㆍ사법ㆍ행정처럼 ‘삼권 분립’하는 관계도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김경희 기자 amato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