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방 부대 생활관에 병사 수신용 휴대전화 보급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올 연말까지 전방 부대 등에 병사들을 위한 수신용 휴대전화 1만1364대를 국방부가 보급한다.

 국방부 당국자는 31일 “8~10명이 함께 쓰는 병사 생활관 내 1실에 1대씩 비치해 평일 일과 후와 휴일에 사용토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생활관에 수신용 휴대전화를 놓으면 지금까지 전화 사용을 위해 부대 행정실까지 이동하거나 공중전화 부스 앞에 길게 줄을 서야 했던 병사들의 불편이 줄어들 것으로 국방부는 기대하고 있다. 수신용이라 전화를 받는 것만 가능하지만 문자메시지는 사용할 수 있다. 병사들이 먼저 부모나 친지 등의 휴대전화에 메시지를 남긴 뒤 전화를 기다리는 방식으로 운용할 수 있다. 보안을 고려해 스마트폰이 아닌 일반폰을 보급할 것이라고 한다. 국방부는 전방 부대나 격오지 부대에서 시험운용을 한 뒤 모든 부대의 생활관으로 보급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윤 일병 구타 사망사건 이후 발족된 국회 ‘군 인권개선 및 병영문화혁신특위’는 이날 군 복무 중 익힌 기술을 국가자격증으로 인정하는 방안을 포함해 7개 분야에 걸쳐 39개의 권고안과 과제를 발표했다. <본지 7월 29일자 10면> 특위 위원장인 새누리당 정병국 의원은 “내년에 2307억원 등 향후 3년간 5652억원의 예산 투입이 필요하다”며 관련 부처에 예산 편성을 요구했다.

정용수 기자 nkys@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