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경봉號 파장' 北日관계 급랭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8면

북한 만경봉호의 니가타(新潟)항 입항 중단으로 북.일 관계가 한층 악화되면서 북핵 문제의 외교적 해결에도 악영향을 줄 것으로 우려된다.

지지(時事)통신에 따르면 북한은 9일 만경봉의 니가타 입항을 하지 않기로 하면서 "일본의 대대적 선박 검색 계획은 지난해 평양선언에 대한 배신행위"라며 반발하고 있다.

만경봉호 운항 중단으로 친척 방문.수학여행을 가려던 조총련계 2백60명이 가지 못하게 됐지만 일본 내에선 '운항 중단 환영 여론'과 함께 '북한 비난 여론'이 한층 달아오르고 있다.

일본인 납치 피해자와 일반 시민 1천5백여명은 이날 오전 니가타항 부두에서 집회를 열고 대북 경제제재와 만경봉호 입항 거부 법안을 만들라고 요구했다. 일본 방송들도 이날 만경봉호 입항 중단과 관련, "만경봉호는 밀수.공작활동 등에 이용된 의혹이 짙다"는 특별프로그램을 내보냈다.

후쿠다 야스오(福田康夫)관방장관은 9일 "만경봉호가 운항을 재개하더라도 엄격히 검사하겠다"는 입장을 강조했다. 일본 정부는 만경봉호가 입항하면 경찰.세관원 등 3백명 이상을 동원해 '이 잡듯이'뒤진다는 방침이다. 따라서 만경봉호는 당분간 운항이 중단될 전망이다.

그러나 아사히(朝日)신문은 9일 인터넷판에서 "일본은 미국.중국.북한 간의 3자회담에 참여해 북핵 문제를 다국 간 협의에서 풀려고 하지만 이번 운항 중단으로 북한과의 대화는 더욱 거리가 멀어졌다"고 밝혔다.

특히 일본 정부 내에서 이번 "정부의 강경책이 성공했다"는 분위기가 강해 대북 경제제재를 검토 중인 일본 정부가 대북 압력 강도를 한층 높일 가능성이 커졌다. 일본이 대화보다 압력 수위를 높일 경우 아직 외교적 해결에 더 치중하는 한국 정부와의 사이에 틈이 벌어질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도쿄=오대영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