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때 조선인 강제노역 첫 인정, 일본 "자신의 의사에 반해…"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조선인 강제노역 인정' 세계문화유산 등재가 결정된 하시마섬(나가사키현·왼쪽 사진)에는 한국인 600명이 끌려가 122명이 사망했다. 성신여대 서경덕 교수가 제작한 동영상 ‘하시마섬의 진실’에 따르면 일본인들은 이들에게 고문·폭행을 일삼았다고 한다. [사진 서경덕 교수 제작 동영상 캡처]

'조선인 강제노역 인정'

일본 “한국인들 자신의 의사 반해 강제노동한 사실 있다”

“(일본은) 1940년대 일부 시설에서 많은 한국인 등이 ‘자신의 의사에 반해(against their will)’ 동원돼 가혹한 환경하에서 ‘강제로 노동한(forced to work)’ 사실이 있음을 인식하며….”

 5일 오후(현지시간) 독일 본에서 제39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WHC) 세계문화유산 등재심사 회의가 열렸다. 한국과 일본을 포함한 21개 위원국이 강제징용시설을 포함한 일본의 근대산업시설을 세계문화유산에 등재하기로 합의 결정한 뒤 일본 측 수석대표인 이즈미 히로토(和泉洋人) 총리특별보좌관이 입을 열었다. 일본 정부가 일제강점기 한국인들의 강제징용이 있었다고 국제사회에서 인정하는 순간이었다. 그는 “해당 시설에 정보센터 등을 세워 희생자들을 기리겠다”고도 했다. 일본 정부를 대표한 그의 발언은 WHC 등재권고문에 주석으로 담겼다. 또 ‘위원회는 일본의 의견을 주목한다’고 명시했다.

뒤이어 한국 측 수석대표인 조태열 외교부 2차관은 “일본의 발언을 엄중하게 받아들이고, 일본이 향후 조치를 성실히 이행할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일본 정부가 강제징용 사실을 밝히고, 한국 정부는 등재에 찬성하는 발언을 한다는 합의에 따른 것이었다. 일본이 ‘메이지 산업혁명유산군’이란 제목으로 신청한 근대산업유산 23곳의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둘러싼 한·일 두 나라의 갈등도 마침표를 찍었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등재 결정 직후 서울 외교부 청사 브리핑에서 “한국 측의 정당한 우려가 충실히 반영됐다”고 평가했다. 외교부 고위 관계자는 “사실상 최초로 일본 정부가 국제사회에 강제노역을 공식 인정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고 했다.

 이 내용을 권고문에 포함시키기 위해 한·일은 회의 직전까지 치열한 외교 교섭을 벌였다. 당초 4일로 예정됐던 위원회가 하루 연기된 것도 강제징용을 어떻게 표현할지를 놓고 양측이 이견을 해소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한국 정부는 일본이 등재 신청한 규슈(九州)·야마구치(山口) 지역의 23개 근대산업시설 가운데 7개 시설에서 5만7900명이 강제징용된 사실을 명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본 측은 끝까지 ‘강제징용(enforced labor)’이라는 단어와 노역을 시킨 주체가 표현되는 것만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버텼다고 한다. 결국 ‘의사에 반해 동원’ ‘강제로 노동’ 등으로 풀어쓰자는 것으로 양쪽이 합의했다. 한국 정부는 이 표현들을 모두 합하면 ‘국제법상 강제징용’으로 인정된다고 판단한 결과라고 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당초 목표는 7개 시설을 유산 등재에서 제외시키는 것이었지만 일본이 강제징용을 인정하고 일제강점기에 대한 국제사회의 인식을 높임으로써 얻는 성과가 더 컸다고 본다”고 말했다.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 외상은 도쿄 외무성에서 기자들과 만나 “등록을 위해 계속 조정을 했고 등록이 결정돼 정말 기쁘다”고 말했다. 일본 외교 소식통은 “막판 협상이 결렬돼 세계유산 등록이 무산됐다면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의 정상회담이 어렵게 되는 것은 물론 일·한 양국 관계는 더욱 악화될 수밖에 없었다. 큰 고비를 넘기고 등록이 결정돼 다행”이라고 말했다.

온라인 중앙일보
'조선인 강제노역 인정'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