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수업 거부 고대·성대 확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민정당사점거학생처벌에 항의한 고대와 성대학생들간의 학기말고사및 수업거부 움직임이 확산되고있다.
◇고려대=21일까지 법대·경영대·이공대·문과대등 4개대학의 일부학생들이 민정당사점검거학생처벌에 항의, 시험거부를 결의한 데 이어 22일 사범대 일부학생들도 이에 동조하고 나섰다.
20일 법대생 3백여명이 시험거부를 결의한 뒤 2l일 경영대생 1백50여명은 『민정당사 농성사건으로 구금된 학생들이 불참한 시험은 부당하다』고 주장, 학사일정으로 잡혀있는 시험기간인 12월13일이전의 시험은 거부키로 결의했다.
법과대생 80명, 농과대생 80여명도 21일하오 교내에서 각각 모임을 갖고 『구금된 학생들이 학교로 돌아올때까지 시험을 거부키로했다』고 결의하고 이에 동참하는 서명운동을 펴기로 했다.
총학생회는 22일 하오3시 교내에서 「현상황에 대한 고대인의 행동통일」이란 모임을 갖고 시험거부를 최종적으로 결의키로했다.
민정당사농성과 관련, 즉심에 넘겨진 고대생55명중 구류10일처분을 받은 학생은 1명, 구류15일은 11명, 20일 22명, 25일 12명, 29일 9명으로 이들은 대부분 정식재판을 청구하지 않을경우 2학기 학사일정으로 잡혀있는 12월25일까지 풀려나오게된다.
한편 고려대는 이같은 학생들의 시험거부 움직임에 대해 21일 하오3시 김준엽총장주재로 교무위원회를 열고 구류처분된 학생들은 추후에 레포트제출·추가시험등을 실시, 학사상 불이익이 없도록 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성대=학생8백여명은 21일 하오2시쯤 교내금잔디 광장에서 학도호국단주최로 「전체학생총회」를 가졌다.
총회에서 유학대·문과대·사회과학대등 3개 단과대학(15개학과) 대표들은 『민정당사농성사건으로 부당한 처벌을 받은 동료학생들이 수업을 받지못하는 상태에서 수업을 계속받을 수 없어 과총회를 통해 학생들이 돌아올때까지 무기한 수업거부에 들어가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하오3시10분쯤 집회를 마친뒤 학생4백여명은 스크럼을 짜고 교외진출을 시도, 이들중 2백여명은 교문밖 40m지점까지 나가 최루탄을 쏘며 저지하는 경찰에 보도블록과 돌을 던지다 해산했다.
한편 이날 사학과는 5개강좌중 4개강좌의 수업이 이뤄지지 않았고 유학대의 3개학과 일부강의도 이뤄지지 않았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