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요하다면 지도부 책임도 생각해야” … 친박계, 김무성·유승민에게 직격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서청원 새누리당 최고위원(오른쪽)이 1일 당 회의에서 원내지도부를 비판하고 있다. [김성룡 기자]

국회가 대통령령(시행령) 등 행정입법에 대해 수정·변경권을 갖도록 규정한 국회법 개정안을 놓고 새누리당 친박근혜계가 1일 원내지도부 ‘책임론’을 꺼냈다.

 청와대 정무·홍보수석을 지낸 친박계 이정현 최고위원은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개정안에) 국가의 근간인 헌법질서를 훼손하는 실체가 드러나고 있다면 매우 중대한 문제”라며 “필요하다면 (지도부의) 책임도 생각해볼 수 있는 문제”라고 지적했다.

 친박계 중진 서청원 최고위원도 “아무도 생각하지 못한 시행령(수정권)까지 동의해 놓고 (원내지도부는) ‘여야가 합의해 처리된 것이니 아무 문제가 없다’고 이야기한다”며 “안일하게 적당히 넘어가려다간 (야당이) 발목 잡고 국회가 한 치도 나아갈 수 없다는 게 불 보듯 뻔하다”고 비판했다.

 김태호 최고위원은 “유승민 원내대표 체제 출범 이후 청와대와 당의 갈등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김태흠 의원은 라디오 인터뷰에서 “유 원내대표가 협상 과정에서 원칙까지 져버리면서 질질 끌려다닌 결과물에 대해서 동의할 수 없다”며 “(개정안은) 위헌 논란을 차치하더라도 제2의 국회선진화법이다. (야당이) 모든 사안에 발목 잡는 형국”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삼권분립이 훼손되고 위헌적 요소가 있다고 검토 결과가 나온다면 (박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해야 한다”고도 했다.

 김무성 대표와 유승민 원내대표는 맞대응을 삼갔다. 김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친박계의 비판이 이어지자 “유 원내대표가 (지난달 28일) 다른 최고위원의 의견을 물어서 여야 합의를 하지 않았느냐”며 “유 원내대표만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모두의 문제다. 이해해 달라”고 반발을 무마하려 했다. 조해진 원내수석부대표는 “시행령 개정을 요구할 때 (정부에) ‘처리하라’는 의무는 부과하지만 의무가 이행 안 될 때 강제할 방법은 없기 때문에 국회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강제력은 없다”며 “여러 채널로 청와대 측과 연락해 오해를 풀겠다”고 말했다.

 회의 후 유 원내대표는 책임론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그런 일(책임질 일)이 오면 언제든지…”라고 말했으나 김 대표는 “그럴 상황은 아니다”고 일축했다.

 이런 가운데 친박계 의원들은 2일 오전 ‘국가경쟁력강화포럼’을 계기로 대규모 회동을 한다. 포럼 간사이자 대통령 정무특보인 윤상현 의원은 “시행령 수정 요구를 여야 합의로 하기 때문에 괜찮다는 원내지도부의 발상은 너무 순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글=허진 기자 bim@joongang.co.kr
사진=김성룡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