혐오직업 호칭 바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1면

정부 비천·멸시감을 유발시키는 직업 호칭이나 직업에 대한 자부심을 해치는 직업명, 필요 이상의 외래어로 된 직업명 등을 발굴, 개선키로 했다.
정부는 이를 위해 각 부처별 직명개선심의회 및 중앙직명개선심의회를 구성, 21일 작업에 착수했으며 정부안이 종합·정리되면 국어심의회의 심사를 거처 통용시킬 계획이다.
정부는 이 운동의 권위성·효율성을 높이기 우해 국어심의회의 심의를 거치면 내년 2월 25일까지 국무회의의 의결을 받도록 했으며 개선직명이 정착될 때까지 운동을 지속할 방침이다.
현재 개선 대상으로 지적되고 있는 일반 직종은 ▲생산 및 관련 종사자·단순 노무자 8백 95 ▲전문기술 관련 종사자 3백 89 ▲서비스직 종사자 86 ▲판매 종사자 32개 등 1천 5백 68종과 공무원 직명 5백 56종이 있는데 정부는 지금까지 분류가 안된 직종도 집중 발굴해 이번 작업에 포함시킬 계획이다.
우리나라의 직명 실태를 보면 크게는 ▲일제 아래서 천시하던 선로수·공원·마부 등과 ▲사회 통념상 저속 비천한 의미를 내포한 때밀이 구두닦이 ▲열등감을 유발하는 청소부 신문팔이 ▲자부심을 손상시키는 얼룩빼기공과 같은 단순 직명 ▲필요 이상의 외래어를 사용한 패션모델 같은 직명 등이 있다.
정부는 20일 각 부처에 시달한 지침에서 ▲구두닦이·때밀이는 봉사원으로 ▲공원·여공은 기능(여) 사원 ▲청소부는 환경정비(미화)원으로 ▲광부는 광산근로자로 ▲복덕방 업자는 부동산 중개업자 ▲고용직 공무원은 행정(업무)보조원 등으로 하도록 예시했다.
정부는 또 우체부→집배원, 수위→방호원, 간수→교도관, 식모→가정부, 차장→안내양, 교환수→교환원, 매니저→관리인 등의 경우처럼 이미 개정했는데도 병용되거나 제대로 개선직명이 사용 안되는 명칭도 이번 개선 운동에 다시 포함시켜 정착시키기로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