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걸 “원칙 지키는 점에서 난 강경파 … 경제는 좌파 아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공무원연금 개혁안에 대한 출구가 필요하다는 결심이 섰다. 이제 가야 할 길은 민생이다.”

 새정치민주연합 이종걸 원내대표는 17일 공무원연금법 개정안을 ‘28일 국회에서 통과시키겠다’며 민생을 거론했다. 그러곤 공적연금 개편과 관련된 국회 규칙에 ‘국민연금 소득대체율 50%를 명기해야 한다’는 종전 주장에서 한 발 물러섰다. 그는 이를 ‘꽉 막힌 정국의 출구’라고 표현했다. 이 원내대표가 언론 인터뷰에 응한 건 지난 7일 선출된 뒤 처음이다.

 -28일 공무원연금법 개정안을 매듭짓겠다는 뜻인가.

 “공무원연금법 개정안은 통과시키고, 공적연금 개편을 위한 합의기구를 만드는 게 국회의 임무다. 의미 없이 시간을 끌지 않겠다.”

 -새누리당 유승민 원내대표와도 공감대가 있었나.

 “(고개를 끄덕이며) 그렇다.”

 -‘대체소득 50%’를 달성할 방안은.

 “과거 기초연금의 소득대체율을 10%로 하는 대신 국민연금을 40%로 낮췄다. 그러나 박근혜 정부의 공약 파기로 기초연금이 국민연금과 연계됐고, 지급 대상도 소득 하위 70%로 한정됐다. 기초연금의 수급자를 90%로 늘리고 기초연금-국민연금의 연계를 털어내면 소득대체율 50%를 달성할 수 있다.”

 이 원내대표는 “공적연금의 공공성 강화는 차기 선거를 예측할 수 있는 지수가 될 것”이라며 “기울어진 운동장, 지역 불균형, 인구 구조 변화 등으로 향후 선거에서 야당이 불리하다”고 말했다. 이어 “새정치연합의 정책 방향은 당연히 지지자로 반드시 모셔야 되는 어르신들을 향해 갈 수밖에 없다. 또 사회적 안전망을 지켰다는 성과는 당의 정체성과도 맞아떨어진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강기정 정책위의장은 이 원내대표의 주장에 대해 “문재인 대표와 당의 공식 입장은 ‘5월 2일 합의서를 지키라’는 것”이라며 “현재로선 그 이상의 절충안은 없다”고 주장했다. 이 원내대표의 제안은 당내 조율이라는 과정을 거쳐야 빛을 볼 수 있는 셈이다.

 -3수만에 원내대표에 당선됐는데.

 “어려운 상황에서 가장 절실한 의지를 가진 사람을 찾으려 했던 것 같다. 정치 기술이나 위트보다는 울부짖고 몸을 던지는 진정성이 (내게) 좀 더 있었던 것 같다.”

 -새누리당 원내대표와의 주례회동에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는데.

 “주례회동이라는 틀에 끌려가면 한쪽이 대화에서도 끌려가게 된다. 필요 있을 때 만나는 게 생산적이다.”

 -향후 원내 상황이 야당에 유리할까.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이 ‘물 반 고기 반’이다(그만큼 많다는 뜻). 이명박 정부는 경제를 세운다면서 고꾸라졌고, 박근혜 정부는 위기가 상존해 있다. 여당보다 분명한 대안을 갖고 집행할 능력을 보여 줘야 한다.”

 -‘비노 강경파’로 분류되는데.

 “원칙을 지킨다는 점에서 강경파라고 한다면 고맙게 수용하겠다. 그러나 경제를 바라보는 눈이 좌파적이라거나 사회주의적이진 않다. 그런 걸 가까이할 생각도 없다.”

 -어떤 원내대표로 기억되고 싶나.

 “임기를 마친 뒤 독립투사였던 할아버지(이회영 선생)만큼은 아니더라도 당의 위기를 수습한 원내대표로 남고 싶다.”

 그는 재·보선 참패 뒤의 당내 갈등에 대해 “당의 미래를 찾기 위한 몸부림”이라고 했다. 문 대표가 ‘비주류가 지분 요구로 당을 흔든다’는 성명을 발표하려다가 취소한 데 대해선 “대표의 메시지가 공개된 뒤 당내에서 ‘다름을 틀리다고 보지 말자’는 의견이 많아졌다. 대표가 당내 목소리를 ‘지분 요구’로 본 것은 틀렸다”고 말했다.

강태화·정종문 기자 thka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