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웨어러블·가전·차 … ‘아틱’이 교차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6면

기기 간 호환을 가능케 하는 모듈 ‘아틱5’.

삼성전자가 사물 인터넷(IoT) 생태계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구체적인 청사진을 그리기 시작했다. ‘히든 카드’는 IoT 통합 플랫폼인 ‘아틱(ARTIK)’. ‘Articulate(연계되다)’에서 따온 말로,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개방형 플랫폼이다. 손영권 삼성전자 전략혁신센터(SSIC) 사장은 12일(현지 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사물인터넷 월드’ 행사 기조연설에서 이같은 내용의 아틱을 전세계에 공개했다.

 아틱의 핵심은 이날 공개한 초소형 모듈 3종이다. IoT 플랫폼이 제대로 구현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는 물론 TV·생활가전·조명·자동차까지 모두 하나의 플랫폼에서 연동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기 간 호환이 가능토록하는 장치가 필요한데, 삼성의 모듈이 이 역할을 한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와 메모리 반도체, 통신칩, 각종 센서 등이 하나로 묶인 형태다. 쉽게 말해 누구나 손쉽게 사물인터넷 기기를 만들고, 생활에 이용할 수 있게 하는 IoT 부품들이다.

  우선 ‘아틱1’은 가로·세로 12㎜ 크기로 현존하는 가장 작은 IoT 모듈이다. 블루투스 기능을 제공하고 소비 전력이 적어 웨어러블 기기 등에 탑재할 수 있다. ‘아틱5’는 29×25㎜ 크기로 스마트홈, 드론, 고사양 웨어러블 기기에 적합하다. 비디오 인코딩·디코딩, 오디오 기능까지 갖춘 ‘아틱10’은 가장 폭넓은 쓰임새로 다양한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주요 정보기술(IT) 기업들은 IoT의 역량을 소프트웨어 플랫폼에 집중했다. 반면 삼성전자는 IoT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선보이며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했다. 그간 ‘뜬구름 잡기’ 식의 개념으로 활용이 제한적이었던 IoT 서비스가 이젠 ‘손에 잡히는’ 기술로 현실화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IoT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으나, 실제 이 시장이 커지기 위해서는 핵심 모듈의 가격이 내려가야한다”며 “최저 10달러에 판매하는 아틱 모듈이 마중물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틱은 이밖에도 개발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소프트웨어, 최첨단 보안 솔루션, 별도의 저장공간, 개발 도구 등도 지원한다. 이런 기능을 집적한 아틱 모듈을 이용하면 개발자들은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다양한 형태의 IoT 서비스를 만들 수 있다. 실제 IoT 서비스를 만들 수 있는 개발도구인 ‘알파 디벨로퍼 키트’는 31일 공개한다.

 손 사장은 “물 부족, 대기오염, 교통 체증, 건강 등 인류가 당면한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서로 협력해 IoT를 활용해야 한다”며 “삼성전자는 벤처기업들이 IoT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플랫폼을 더욱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국의 IT매체 씨넷은 아틱이 타사 제품을 삼성전자의 솔루션과 연결하는 용도로 사용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업계에서도 삼성이 아틱을 더욱 폭넓게 개방해 삼성전자 제품은 물론 다른 브랜드 제품까지 삼성전자의 IoT 플랫폼에 연동시킬 것으로 보고 있다. 우선 삼성전자가 사업을 확대하고 있는 스마트홈 분야에서 시작한 뒤, 이를 헬스케어·자동차 분야 등으로 확대해 나갈 것이라는 예상이 많다. 구글이 스마트폰 운영체제(OS)에서 그랬던 것처럼 플랫폼을 개방해 IoT 생태계의 주도권을 선점하겠다는 취지다.

 한편 삼성전자는 10만 달러의 상금이 걸린 ‘아틱 챌린지’도 진행키로 했다. 아틱과 IoT 기술을 활용해 물 소비를 줄일 수 있는 아이디어를 공모해 시상할 계획이다.

손해용·김현예 기자 sohn.yo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