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재·보선 대형악재, 내년 총선도 걱정" … 새정치련 "친박 게이트 … 판도라 상자 열렸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이 남긴 정치인 리스트는 4·29 재·보선을 앞둔 미묘한 시기의 정치권에 큰 파문을 몰고 왔다.

재·보선 호재를 만난 새정치민주연합이 10일 “판도라의 상자가 열렸다” “친박 권력형 비리 게이트”라고 규정하며 대대적인 공세에 나선 반면 새누리당은 어수선한 모습이었다. 보궐선거 지역인 광주 서을에서 열린 현장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하느라 당 지도부가 여의도를 비운 탓도 있었지만 새누리당은 오후 늦게까지 공식 논평조차 내놓지 못했다.

광주광역시에서 기자들에게 “난 아는 게 없다”고 말했던 김무성 대표 등 지도부는 오후 일정을 취소하고 상경했다.

하지만 열린다던 긴급 최고위원회의는 열리지 않았고 김 대표의 기자 간담회도 무산됐다. 오후 5시가 넘어 김영우 수석대변인이 “사실관계가 밝혀지지 않아 공식 입장을 밝히기 어렵다. 야당이 정치적 총공세를 펼치는 것도 정도(正道)가 아니다”라는 짤막한 입장을 낸 게 전부였다.

당 고위 관계자는 “파문을 어떻게 가라앉힐지 고민스럽다”고 말했다. 당직자들은 “재·보선을 앞두고 대형 악재가 터졌다. 자칫하면 내년 총선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불안해했다.

 ‘친박근혜(친박)계’ 의원들 대부분은 “당시 상황을 잘 모른다”고 거리를 뒀다. 반면 소장파 의원들의 모임인 ‘아침소리’의 하태경 의원 등 6명은 “검찰은 눈을 감지 말고 ‘성완종 리스트’를 즉각 철저히 수사해야 한다”는 공동 발표문을 냈다. ‘비박계’인 정병국 의원은 라디오 인터뷰에서 “이완구 총리께서 대대적인 수사 담화를 발표하실 때 ‘잘못된 기획수사는 또 다른 우를 범할 수 있고, 우리에게 부메랑이 돼 돌아올 수 있다’고 얘기했는데 이런 부분들이 현실이 됐다”며 “검찰이 수사하지 않으면 국민이 납득을 하겠느냐”고 말했다.

 새정치연합의 공세는 문재인 대표가 이끌었다. 오전 기자들과 만나 “(성 전 회장의) 마지막 말씀은 죽음을 앞두고 우리 사회에 특별히 남긴 것이라 생각한다”며 “그만큼 진실이 담겨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어 “허태열·김기춘 두 분이 연이어 비서실장이 됐는데, 그 연유가 조금 드러난다는 생각이 든다”며 “사실 여부를 철저하게 가리는 수사가 있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오후 늦게 긴급 최고위원회를 소집한 그는 “매우 충격적이며, 나라가 걱정”이라는 말도 했다.

김성수 당 대변인은 ‘박근혜 정권 최대의 정치 스캔들’(오전)→‘친박 권력형 비리 게이트’(오후, 최고위원회의 직후)로 공세 수위를 높였다. 그는 “박 대통령이 나서 성역 없는 수사를 지시하라”고 요구했다.

 유승희 최고위원은 “성 전 회장의 유서가 공개돼야 하고, 특검을 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서승욱·허진 기자 sswo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