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남경필 경기도지사와 함께하는 정신건강음악축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정신건강의 날(4월 4일)을 맞아 ‘정신건강 음악축제’가 1일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경기도 문화의전당에서 열렸다.

경기도 31개 시·군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장애인, 가족, 사회복귀시설 등 실무자 1500여 명이 참석했다. 남경필 경기도지사도 자리해 정신장애인에 대한 편견을 깨고 정신건강의 중요성을 알리는 데 힘을 실었다. 행사는 개그우먼 송은이와 아나운서 최성욱이 사회를 보는 가운데 정신장애인들의 공연, 남경필 도지사와의 토크콘서트 등 다양한 구성으로 진행됐다. 초대가수로 홍진영이 마지막 무대를 장식했다.

또 안산·김포시 등 경기도내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총 5개 팀이 무대에 올라 노래·무용 공연을 했다.

안산시정신건강증진센터를 대표해 나온 팀 ‘배터으리 8090’은 세월호 침몰 1주년을 앞두고 1년이란 시간을 되돌아 볼 수 있는 뮤지컬 렌트(Rent) OST 'Seasons of Love' 곡을 합창했다. 세월호 사고에서 살아 돌아온 동생을 둔 설수아 씨는 “지난 1년 잘 견뎌준 동생과 친구들이 고맙고 대견하다”며 “세월호 사고를 잊지 말았으면 좋겠다”는 소감을 밝혔다.

하남시정신건강증진센터를 대표해 나온 팀 ‘피닉스’는 “조현병(정신분열증)으로 들리는 환청을 극복하기 위해 노래를 부르다 성악가를 꿈꾸게 됐다”며 카니발의 ‘거위의 꿈’을 열창했다.

이어지는 토크콘서트에서는 남경필 지사와 정신장애인과 가족 대표, 실무자가 모여 정신건강 회복과 관련 정책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노인 전문 병원에서 10년 넘게 일하고 있는 정신장애인 대표 이성은 씨는 ”일자리가 있고 재활 서비스가 잘 이루어진다면 정신 질환자도 얼마든지 일할 수 있다”며 “다만 일자리가 없고, 있더라도 취업 상태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는 사회망이 부족한 점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정신장애인으로서 직장 생활하는 데 어려움이 없냐는 질문에는 “많이 힘들다. 하지만 직장생활이 힘들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라며 “꾸준히 일 해 20년 뒤에는 내 이름으로 된 집을 마련하는 게 꿈”이라고 말했다.

조현병을 앓고 있는 아내를 둔 가족 대표 이항규 씨는 “아내의 병을 낫게 하기 위해 열 일 제치고 할 수 있는 모든 걸 다 했다. 한약도 먹이고 계룡산에 용하다는 무당을 찾아가 굿도 했지만 소용 없더라”고 운을 뗐다. 이후 정신증진건강센터와 사회복귀시설의 도움을 받기 시작한 이씨는 “2013년엔 경기가 좋지 않아 정신보건사업에 예산이 잘려나갔다는 소식을 듣고 앞날이 막막했다”고 말했다. 그는 “정신장애인은 아침에 눈 떴을 때 갈 곳 없다는 게 가장 힘들다고 생각한다. 사람이라면 학생이든 직장인이든 소속감이 있어야 하지 않겠느냐”며 남경필 지사에게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힘이 되어주길 부탁드린다”고 덧붙했다.

또 정신보건 사업 관계자들은 “최근 경기도에서 세월호 사고를 비롯해 판교 환풍구 붕괴, 의정부 화재 등 예상치 못한 사건·사고가 많이 일어나고 있다”며 “자살율이 13.5%로 IMF 때의 두 배인 만큼 적극적인 사례관리 도움이 필요한 시기”라고 역설했다. 이어 “경험이 많은 실무자들이 현장에 많이 남아 있어야 도민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며 정신보건 사업의 환경 조성을 강조했다.

남경필 지사는 “오늘(1일) 이 자리에 참석한 분들은 질병을 인정했기 때문에 이미 절반은 성공한 것”이라 말하며 “정신건강한 경기도를 위해 제도적으로 어떻게 뒷받침할 수 있을 지 진지하게 고민하겠다”고 답했다. 또한 “부러진 다리가 다 나으면 직장으로 다시 돌아가는 것처럼 정신장애인도 재활해서 직장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꼭 일자리를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이날 행사는 참석자들이 모두 일어나서 ‘G-mind 정신장애인 10대 권리장전’을 선포하며 마무리했다.

한편 1996년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정신보건사업을 시작한 경기도는 민간기관과 보건소 등 공공기관과 연계하여 정신 건강 사업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했다.

4월 4일 정신건강의 날은 ‘4’라는 숫자가 액운이 따른다는 잘못된 편견을 교정함과 동시에 ‘모든 정신장애인은 항상 위험하다’라는 사회적 인식과 편견을 개선하기 위해 지정됐으며 G-mind (언제든G, 누구든G, 어디서든G, 무엇이든G)는 경기도 정신건강서비스의 브랜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