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취재일기

성범죄 데이터 공개가 문제 해결의 시작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9면

유성운 기자 중앙일보 기자
미국 LA의 ‘크라임 매핑(Crime Mapping)’ 인터넷 사이트. ‘SC(성범죄)’를 클릭하면 사건 내용이 나온다.
유성운
사회부문 기자

“지역 이미지가 훼손된다고 주민들이 반발할 수도 있고….”

 이틀 전 본지에 전국 251개 시·군·구별 성범죄 위험도 지도가 실렸다. <3월 23일자 1·8면> 보도에 앞서 성범죄 위험도를 분석한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자료를 확보한 뒤 현장 취재를 할 때였다. 위험도 지수가 상위권인 수원의 지방의원을 만나 대책을 물었다. 의원은 “사실 우리 지역에서 각종 범죄가 일어나 골머리를 앓고 있다. 범죄 데이터가 제시된다면 구체적인 대안을 만드는 데 유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시·군·구별 통계까지 공개하는 건 신중하게 고민해야 할 대목”이라며 난색을 나타냈다. 경찰의 반응도 비슷했다. “우리야 공개하고 싶죠. 하지만 지역에서 난리가 날 겁니다.”

 다닥다닥 붙은 주택들, 그 사이로 구불구불 미로와 다름없는 골목길, 페인트가 벗겨진 채 금이 간 회색 담벼락…. 기자가 찾아간 수원 팔달구 A동은 이 지역이 왜 성범죄에 취약한지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었다. 김기정 수원시의회 도시환경위원장은 “지역에 CCTV를 확대 설치하는 등 안전 대책을 세우려 해도 예산 때문에 뒤로 밀리곤 했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성범죄 위험을 가린 채 방치하는 게 옳은 것일까. 선진국들은 범죄 관련 데이터를 사회에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다. 미국의 ‘크라임 매핑(Crime Mapping·범죄 지도)’ 인터넷 사이트에 들어가 클릭 몇 번만 하면 특정 지역에서 발생한 범죄 종류와 발생 위치는 물론 수사 상황까지 확인할 수 있다. 영국도 경찰이 운영하는 사이트 ‘Police UK’를 통해 16개 범죄 유형별로 시기별 발생 건수와 사건이 발생한 정확한 지점까지 알려준다.

 박준휘 형사정책연구원 박사는 “범죄 통계를 본 주민들은 보지 않은 주민보다 ‘범죄 예방을 위해 세금을 더 낼 의사가 있다’고 답한 비율이 높다”고 말했다. “성범죄 위험을 낮추려면 예산에 앞서 지역 주민들 스스로 문제 해결에 나서는 게 중요합니다. 주민들이 관계 기관에 대책 마련을 압박해야 해요.”

 지난해 부산은 강력범죄가 꼬리를 문 16개 지역에 ‘어머니폴리스단’을 발족시켰다. 주기적인 순찰과 함께 통·반장 집을 ‘아동안전 지킴이집’으로 지정한 결과 1년 만에 성범죄 건수가 17.7% 줄었다.

 이혜련 수원시의원은 24일 기자와의 통화에서 “중앙일보 기사를 보고 다른 의원들과 모여 지역 치안 대책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고 말했다. 그는 “팔달구만 전담하는 경찰서 신설을 촉구하는 등 범죄를 줄일 수 있는 대안들을 모색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정보 공유가 문제 해결의 시작이란 것은 범죄 대응에 있어서도 다르지 않다.

유성운 사회부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