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단행본 평균 발행 부수…"갑자기 뚝 떨어진 이유보니…"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작년 단행본 평균 발행 부수’ [사진 = 중앙 포토]

‘작년 단행본 평균 발행 부수’.

지난해 단행본 신간의 평균 발행부수가 2000부도 못 미치며 감소 추세로 돌아섰다.

2일 대한출판문화협회가 국립중앙도서관 등의 납본 대행 과정에서 집계해 공개한 '2014 출판 통계'에 따르면 정기간행물과 교과서를 제외한 지난해(2014. 1 ~ 2014. 12) 단행본의 평균 발행부수는 1979부로 지난해보다 1.3% 줄었다.

단행본 발행부수는 출판시장 규모 및 업황을 가늠하는 기본 통계라는 점에서 출판계 불황을 가시화 한 자료가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이마저도 지난 한 해 매종 평균 1만1432부를 발행해 전년 대비 45.8% 발행 부수를 키운 학습참고서들을 제외할 경우 단행본 평균 발행부수는 1537부에 불과했다.

부문별로는 학습참고서 이외에도 아동과 만화 부문이 각각 7.5%, 1.1% 부수를 늘린 반면, 철학과 총류, 문학은 각각 -17.5%, -17.1%, -17.1%로 급감했다. 종교(-5.6%), 사회과학(-11.2%), 순수과학(-8.6%), 기술과학(-10.1%), 역사(-2.3%)도 감소세를 면치 못했다.

납본 통계는 출협이 대행하는 분량에 국한한다는 점에서 정확한 통계와는 거리가 있다. 대략 60% 정도의 단행본이 출협 대행을 거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출협 통계에 따른 지난해 발행된 단행본 신간의 전체 종수는 총 4만7589종이었으며, 총 발행부수는 9416만5930부였다. 전년 대비 발행종수와 부수는 각각 10.3%, 8.8% 늘었다.

책 한 권 당 평균 면수는 272쪽으로, 전년도 대비 4쪽이 줄었다.

온라인 중앙일보

‘작년 단행본 평균 발행 부수’.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