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고인돌에 숭숭 난 구멍 알고 보니 별자리였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5면

대구 동내동에 있는 고인돌. 표면에는 북두칠성(검은 선) 등의 별자리가 보인다.

고인돌은 우리나라 전국에 퍼져 있다. 고인돌 기행을 할 때 고인돌 표면에 파인 작은 구멍들을 예사로 넘길 일이 아니다. 거기에는 선사시대 조상이 새긴 별자리가 있는 경우가 많다.

한국천문연구원 양홍진 박사는 17일 '한국의 고천문학과 천상열차분야지도' 워크숍에서 '한국의 별 그림 역사와 별자리 그림'이란 제목으로 고인돌과 고분 안에 새겨진 별 그림들을 발표했다. 고인돌의 경우 고등과학원 박창범 교수, 경북대 박명구 교수와 함께 전국 260기의 홈이 있는 것을 답사한 결과다.

고인돌에는 새끼손가락이 들어갈 정도의 구멍에서부터 더 크거나 작은 것들이 많이 있다. 마치 별의 밝기에 따라 크고 작게 그린 것이 아닌가 생각할 정도다. 많게는 100여 개가 넘는 구멍이 하나의 고인돌에서 발견됐다. 그러나 이런 구멍은 자연적으로 패인 것이 아니라 일부러 무엇인가를 표시하기 위해 사람이 판 것들이다. 그 구멍들을 선으로 연결해 보면 현대 별자리 그림이 나오기도 한다.

대구 동내동 고인돌의 경우 북두칠성이 명확하게 표시돼 있으며, 은하수를 표시한 듯한 구멍들이 많이 눈에 띈다. 양 박사는 현대 별자리와 이 고인돌에 패인 구멍과의 상관관계를 연구 중이라고 말했다.

경남 함안의 한 고인돌은 남두육성을, 또 하나는 북두칠성을 파 놓았다. 경북 문경, 경남 함안의 한 고인돌은 북쪽 왕관자리를 구멍으로 표시했다. 이외에 묘수나 남두육성, 삼성 등을 파 놓은 고인돌도 있었다는 게 양 박사의 말이다. 함안 예곡리 야촌마을 고인돌에는 삼성과 남두육성, 묘수 등 여러 별자리가 그려져 있었다.

고인돌 덮개돌의 방향은 절반 이상이 해가 뜨는 방향인 남동쪽을 향해 설치해 놓았다. 이처럼 해가 뜨는 방향으로 고인돌을 세워 놓은 것은 유럽 등 외국에서도 볼 수 있는 것이다. 선사시대나 현대나 해가 뜨는 방향은 일상에 많은 영향을 주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박방주 과학전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