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창당 2년 … 위기의 열린우리당] 무성한 처방전 약효는 …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 정동영-김근태 '빅 매치' 흥행 성공할까=당내에선 정동영.김근태 두 장관의 당 복귀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크다. 가장 유력하게 거론되는 두 사람이 내년 전당대회에서 경합을 벌일 경우 지지도 반전의 계기를 잡을 수 있지 않겠느냐는 기대 때문이다. 이광철 의원은 9일 "책임질 사람들이 복귀해 당에 생명력을 불어넣는 역할을 해야 한다"며 "10%대로 떨어진 당을 구할 수 있어야 차기 대권주자의 자격을 얻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빅 매치의 흥행성에 회의적인 사람들도 많다. 두 장관의 지지도도 당 지지도와 마찬가지로 좀체 변화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무슨 관심을 끌겠느냐는 것이다.

더군다나 희박한 흥행 성공 가능성에 도박을 하기에는 자칫 잘못될 경우 그 후유증이 너무 클 수 있다는 지적이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두 장관을 지지하는 의원들이 10여 명씩에 불과하다"며 "경선을 하면 의원들을 상대로 줄을 세우려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당내 갈등, 조기 후계구도 가시화 등과 바꿀 만한 파괴력을 갖기는 어렵다는 판단이다.

◆ 메아리 없는 민주 통합론=통합론은 민주당과의 통합론을 주장해온 염동연 의원이 이끌고 있다. 염 의원은 최근 비상대책위 내에 민주당과의 통합을 위한 소위원회를 구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당 지도부가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제3의 추진기구를 마련하겠다"며 당 밖에서 통합작업을 벌이겠다는 의사를 비췄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여러분이 나의 정치를 계승하고 있다"는 발언은 이 같은 통합론에 무게를 실어줬다.

그러나 민주당 한화갑 대표는 노무현 대통령의 탈당을 통합의 전제조건으로 제시했다. "노 대통령이 탈당이 전제되면 지금보다는 헤쳐모여식의 정계개편이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다. 호남 지역에서 꾸준히 지지율을 높여가고 있는 민주당이 구상하는 정계개편은 내년 지방선거 이후다. 지방선거는 개별적으로 치른 뒤 대선 국면에 통합을 논의하자는 뜻이다.

◆ 방향 못 잡는 정체성 논란=10.26 재선거 참패 후 여권은 민심이반을 확실히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민심 이반의 원인에 대한 분석에선 합일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실용적인 민생경제 회복론보다는 개혁의 정체성 회복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일단 더 높다.

우원식 의원은 "비상대책위가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이 당의 뚜렷한 노선을 드러내 이탈했던 지지층에 열린우리당의 존재를 알리는 일"이라고 주문했다.

그러나 오영식 의원은 "당의 확고한 정체성과 함께 여당으로서 국민의 어려움을 해소하는 정책적 성과를 제시해야 한다"며 "우리 사회의 양극화와 실업 문제 등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과 일관된 정책 집행을 소홀히 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박소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